민주당 김종인 의원이 8일 민주당을 탈당한다. 김 의원은 당분간 '제3 지대'에 머물며 민주당 개헌파, 국민의당, 바른정당 그리고 자유한국당 비박(非朴)계를 하나로 묶는 역할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 '통합·경제민주화·개헌'을 명분으로 하는 연정(聯政)을 집권 구상으로 제시하며 자신이 대선에 출마할 가능성도 있다.

◇親文, 親朴 뺀 세력 규합

김 의원은 7일 밤 서울 종로구의 자택 앞에서 본지 기자에게 "탄핵 이후 운신의 폭을 넓히기 위해 탈당을 한다. 어느 당에 들어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했다. 김 의원은 이날 중견기업 연합회 강연에서는 "탈당 이후의 일은 그때 상황 봐서 판단하겠다"고 했다. 김 의원은 "남이 써준 무슨 공약 내용 가져다 줄줄 읽어가는 대선 주자들은 결국 대통령 역할을 할 수 없다"고 했다.

김종인(왼쪽)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국민의당 손학규 전 국민주권개혁회의 의장과 7일 서울 중구 한 음식점에서 만나 인사를 나누고 있다. 김 대표는 8일 민주당에 탈당계를 제출한다.

[민주당 김종인 의원은 누구?]

김 의원과 정치권 관계자들을 취재한 결과, 김 의원은 탄핵 심판 이후 민주당의 친문(親文), 자유한국당의 친박(親朴)을 제외한 중도 세력 규합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이들에 대한 '사전 작업'도 상당 부분 진행했다. 김 의원 측은 "과거 같은 합당 방식이 아니라 개헌을 앞세운 연정 그림을 그릴 것"이라고 했다. 김 의원은 이날 밤 "탄핵 선고 이후에는 대선 후보 선호도, 정당 지지율 등 정치의 판이 지금과는 크게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과 가까운 정치권 관계자는 "현재는 무슨 명분을 말해도 문재인 후보가 점유하는 '정권 교체' 구호 앞에 무력해질 수밖에 없다"며 "하지만 탄핵 이후에는 '불안하지 않은 야당 후보'에 대한 요구가 커질 것"이라고 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의원,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 등을 '빅 텐트'에 모아 문 후보와 '일대일 구도'로 만들겠다는 구상도 하고 있다.

최근 김 의원을 만난 문병호 국민의당 최고위원은 본지 통화에서 "김 의원과 제3세력이 힘을 합치면 개헌·개혁 연대가 생겨날 수 있다"며 "그렇게 되면 민주당 비문 최대 40여 명과 자유한국당 30여 명이 탈당할 것"이라고 했다. 김 의원 탈당 이후 민주당에서는 진영·최명길 의원 등이 후속 탈당을 고려하고 있고, 비문계 및 손학규계 3~4명도 탈당 대상으로 거명된다.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김 의원은 (자유한국당과도 함께하는) 대연정 같은 큰 그림을 생각하시는 것 같다"고 했다. 그러나 김 의원 측은 "자유한국당 비박계는 연대를 하더라도 순서상 가장 마지막 대상이 될 것"이라고 했다.

◇'임기 3년 대통령'으로 출마할 수도

김 의원이 '제3 지대' 대선 후보로 나설 수도 있다. 현재 민주당을 제외한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은 자체 개헌안을 확정했기 때문에 여기에 비문 중심의 민주당 개헌파까지 가담하면 '개헌 연대'도 가능하다. 김 의원이 '분권형 개헌을 위한 임기 3년 대통령'을 공약하고 대선에 나서는 것이다. 김 의원은 "더 이상 킹메이커는 하지 않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김 의원은 이날 "국회의 각종 개혁 입법이 순탄히 이뤄지려면 의석 180 이상을 확보하는 정부 형태가 만들어져야 한다"며 분권형 개헌을 전제로 한 연정을 언급했다. 그러나 김 의원이 안철수 의원, 유승민 의원, 남경필 경기지사 등과 함께 경선하기가 가능하겠냐는 '회의론'도 적지 않다.

김 의원이 탈당을 선언하자 민주당을 뺀 나머지 정당은 일제히 환영하며 '러브콜'을 보냈다. 정우택 자유한국당 대표는 "우리와 연대할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며 "공개하긴 어렵지만 접촉이 있었고 앞으로 또 있을 것"이라고 했다. 주승용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당 회의에서 "김 의원의 개헌과 경제 민주화 등이 우리 당 정체성과 같기 때문에 국민의당과 함께 중도 개혁 세력으로 정권을 교체하게끔 동참해달라"고 했다. 김무성 바른정당 의원도 "김 의원 탈당은 친문 패권 세력에 대한 실망과 개헌의 중요성 때문"이라며 "우리와 공통적 고민이라 같이 논의하고 탈당 후 자연히 만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