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 등 야3당은 27일 원내대표 회동에서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에 대한 탄핵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반면 바른정당은 황 권한대행의 특검 연장 거부 자체가 헌법이나 법률 위반 사항은 아니라는 점에서 탄핵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결정했다.

야4당은 이날 오전 11시부터 원내대표 긴급회동을 갖고 황 권한대행의 특검 수사기간 연장 불허에 대한 대책 논의를 했다. 회동 직후 각 당 원내수석들은 합동 브리핑을 갖고 3개 사항에 합의했다고 알렸다.

합의 사항은 ▲야4당은 3월 임시국회 소집에 4당이 합의했고 자유한국당에 촉구한다 ▲ 야4당은 새로운 특검법에 대해선 적극 추진을 검토한다 ▲황교안 총리 권한대행에 대한 탄핵문제에 대해선 오늘 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 야3당은 추진키로 합의했고, 바른정당은 조만간 당내 입장을 조율해서 동참 여부를 정한다는 것이다.

회동이 시작되기 전부터 민주당과 국민의당은 특검 수사기간 연장을 거부한 황 권한대행에 대해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며 “황 권한대행의 탄핵 절차까지 고려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앞서 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이날 오전 의원총회 전 기자들과 만나 ‘황 권한대행의 탄핵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황 권한대행은 헌법 위에 있지 않다”며 가능성을 시사했다. 추 대표는 “현실성을 고려할 때 황 권한대행 탄핵은 어렵다는 분석이 있다”는 기자들의 질문에 “뭐가 어려우냐”며 이같이 말했다.

추 대표는 의원총회 모두발언에서도 “황 권한대행은 스스로 그들과 같은 적폐이자 청산 대상임을 자백했다”며 “분명히 경고했지만 황 권한대행이 특검 승인을 자의적이고 정치적으로 결정한 만큼 두고두고 후회할 일만 남은 것”이라고 했다.

국민의당은 이날 의원총회에서 만장일치로 ‘황 권한대행 탄핵’을 추진하기로 했다. 주승용 원내대표는 의원총회 모두발언에서 “특검 연장 불허에 대한 책임을 민주당에 있기 때문에, 국민의당은 민주당이 황 권한대행에 대한 탄핵안을 발의할 것을 적극 촉구하기로 했다”고 했다.

주 원내대표는 “특검은 워낙 방대한 국정농단에 대해 70일 동안 수사를 해왔지만 절반도 하지 못하고 심지어 박근혜 게이트의 핵심인물인 박 대통령도 조사하지 못했다”면서 “황 권한대행은 특검 연장의 사유가 충분한데도 국정농단의 비리가 밝혀질 것이 두려워 공범으로서 덮어버린 것”이라고 했다.

황 권한대행의 탄핵안 의결정족수는 150석이다. 민주당과 국민의당만 힙을 합쳐도 160석이므로 바른정당이 동참하지 않아도 탄핵안 처리는 법률상 가능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