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汎)보수 진영에서 박근혜 대통령 거취를 헌법재판소 결정에 맡길 게 아니라 자진 하야(下野)를 통해 해법을 모색하자는 '질서 있는 퇴진론'이 최근 잇달아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여야의 대타협이 필요한 사안이라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바른정당 주호영 원내대표는 21일 당 원내 대책 회의에서 "탄핵 결정을 내리기 전에 촛불과 태극기 세력이 내전(內戰)에 가까울 정도의 국론 분열로 대립하고 있다"며 "정치권이 탄핵 (결정) 이전에 정치적 해법이 있는지 적극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 원내대표는 "박 대통령이 하야하고, 정치권은 박 대통령 사법 처리 부담을 덜어주는 걸로 해결해야만 국론이 분열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자유한국당 인명진 비대위원장도 "탄핵은 정치적으로 해결하는 게 맞는다"고 했다.

앞서 한국당 정우택 원내대표도 지난 13일 "현직 대통령 탄핵 소추는 정치권이 해결해야 할 정치 문제를 사법기관에 떠넘긴 것"이라며 정치적 해법을 모색하자고 했다.

'탄핵 전 하야론'이 다시 거론되는 것은 탄핵 찬반을 놓고 민심이 '촛불'과 '태극기' 세력으로 갈라져 극한 대립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 어떤 결정이 나오든 후유증이 클 것이란 우려다.

하지만 대타협 가능성에 대해 정치권에선 회의적인 목소리가 더 많다. 당장 주 원내대표 주장에 대해 바른정당 내부에서도 "탄핵 기각 시 의원직 사퇴를 당론으로 채택한 당의 방침과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도 이날 당 회의에서 박 대통령 하야 가능성을 논의했지만 "하야 문제를 형사 처벌 중단과 연계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였다고 한다. 민주당 대선 주자인 문재인·안희정 후보 측은 "박 대통령에 대한 사법 절차는 정치권이 막을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청와대와 친박 의원들도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박 대통령이 이제 와 사퇴한다는 건 말이 안 된다"고 했고, 친박계 윤상현 의원은 페이스북 글에서 "탄핵 심판의 주사위는 던져졌고 헌재 재판관들이 법률과 양심에 따라 심판한다면 반드시 기각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