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2월 동계올림픽을 치를 강원도 평창의 경우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처럼 경기장 시설이 뜯겨져 나가고, 폐허화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체육계의 견해다. 하지만 지금부터 만반의 준비를 하지 않으면 축제가 재앙으로 바뀌는 것은 한순간일 수 있다.

동계올림픽을 치를 경기장은 총 12곳. 이 중 6곳은 기존 시설을 보완했고 나머지 6곳은 신축했다. 휘닉스 스노우파크나 용평 알파인경기장은 기존 스키장 시설과 연계 활용하면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관리 주체는 보광과 용평리조트 등 민간 기업이다. 알펜시아 리조트 내 스키점프센터, 크로스컨트리센터, 바이애슬론센터는 강원도개발공사가 관리를 맡는다. 스키점프센터는 맨 위를 전망대로 활용하고 국내외 대회를 유치해 경기장 및 국내 선수 훈련장으로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크로스컨트리센터는 대회 후 골프장으로 되돌아간다. 강릉시가 관리 주체인 강릉컬링센터는 복합 스포츠 시설로 활용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문제는 새로 지어지는 6곳이다.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과 정선 알파인 경기장은 아직 관리 주체도 정하지 못했다.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 강릉하키센터, 관동하키센터는 민간기업 및 대학 등과 관리 위탁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하지만 세부 계약 진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적자를 면키 어려운 만큼 아무도 선뜻 나서지 않는 상황이다.

체육계 일각에선 "눈덩이처럼 불어날 적자에 허덕이느니 일부 경기장은 차라리 눈 딱 감고 철거하는 것도 방법"이라는 주장까지 조심스레 나오는 형편이다.

한 체육계 관계자는 "구체적인 사후 활용 방안 없이 대회를 치르는 것은 시한폭탄을 지니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지금이라도 정부가 소방수 역할을 맡아 기업과 지자체를 끌고 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