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신(新)행정부 출범(20일)이 다가올수록 G2(미·중) 간 갈등의 파고(波高)가 높아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이 중국의 급소인 '하나의 중국 원칙'을 재차 건드리고, 중국은 미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최신형 핵잠수함을 실전 배치했다. 당초 '트럼프의 중국 때리기는 선거용'이라는 관측과 달리, 트럼프가 연일 대중(對中) 압박 수위를 높이고 중국의 반격이 이어지면서 오히려 전선(前線)이 외교·군사·무역·환율 등 전 방위적으로 확산되는 모습이다.

◇美, 중국 견제 구상 본격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지난 13일(현지 시각) 보도한 인터뷰에서 트럼프는 '하나의 중국' 원칙에 대해 "협상 대상"이라고 말했다. 중국의 극심한 반발을 예상하면서도, 취임 일주일 전에 다시 한 번 중국을 자극한 것은 앞으로 본격적으로 대중 견제에 나서겠다는 사실상의 선전포고인 셈이다. 그는 북핵 문제도 "중국을 압박해서 해결하겠다"고 했다.

[트럼프 취임식 보이콧 확산]

'압도적 군사력을 통해 질서를 유지해 나가겠다'는 트럼프의 '힘을 통한 평화(peace through strength)' 구상은 필연적으로 세계 제2의 군사대국인 중국을 겨냥할 수밖에 없다. 트럼프는 외교·안보 진영을 반중(反中) 성향의 인사들로 채워놓고 이를 구체화하고 있다.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장관 내정자는 지난 12일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중국처럼 새로운 힘의 국가와 협상할 때는 힘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고 했다.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 내정자는 "중국의 남중국해 인공섬 접근을 막을 것"이라고 했다. 이미 중국이 인공섬에 상당수의 군사시설을 만들어 놓은 상황에서, 이곳의 접근을 막는다는 것은 사실상 군사적 충돌도 감수하겠다는 뜻으로 읽힐 수 있다.

경제·통상에서도 중국 압박은 거세지고 있다. 트럼프는 "중국이 미국을 죽이고 있다"고 주장하는 반중 경제학자인 피터 나바로 교수를 백악관 국가무역위원회(NTC)의 위원장으로 앉혔고, 로버트 라이시저 USTR(미 무역대표부) 내정자는 중국 제품에 고율의 관세를 물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中, 미 본토 타격 핵잠 실전 배치

이런 미국의 전방위 압박에 대한 중국의 반격도 날카롭다. 미국의 과학 전문 매체 포퓰러 사이언스에 따르면 분쟁 수역인 남중국해를 관할하는 중국 남해함대는 최근 하이난다오(海南島) 위린(楡林) 해군기지에 094A형 전략 핵잠수함(SSBN) 한 척을 배치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잠수함은 중국 영해에서 미국 본토를 핵탄두로 타격할 수 있는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적재한 최신형이다. 이 잠수함에는 사거리가 1만1200㎞로 확대된 '쥐랑(巨浪)-2A'(JL-2A) SLBM을 12발 실을 수 있다. 최근 중국의 첫 항공모함 랴오닝(遼寧)함이 서해·서태평양·남중국해에서 각종 해상훈련을 실시하고 대만해협을 통과한 데 이은 '대미(對美) 무력시위' 연장선인 셈이다. 한 군사 전문가는 "특히 랴오닝함이 대만해협을 통과한 것은 트럼프에게 '하나의 중국 원칙'을 건들지 말라는 경고를 보낸 것"이라고 했다.

미국 USTR이 "알루미늄 생산업체에 보조금을 지급했다"며 중국 정부를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하자, 중국 상무부가 미국의 옥수수 주정박(DDGS·곡물 찌꺼기)에 42.2∼53.7%의 반(反)덤핑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한 것도 '호락호락 당하지 않는다'는 중국의 메시지다. 중국에서는 "트럼프가 정말로 원한다면 동아시아에서 우리는 한번 붙어 볼 용의가 있다"(환구시보)는 말까지 나왔다.

이런 미·중의 충돌은 북핵 공조 파기 등 한반도에도 큰 후폭풍으로 다가올 가능성이 높다. 외교 소식통은 "미·중 갈등 심화에 대한 대비는 물론, 미·중이 북핵 문제를 다른 현안과 연계해 '빅딜'을 할 가능성 등 모든 상황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둬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