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정지 중인 박근혜 대통령이 1일 기자들과 신년인사회 자리에서 특검의 '삼성 합병' 뇌물 수사에 대해 "완전히 나를 엮은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박 대통령이 육성으로 여러 혐의에 대해 구체적으로 해명한 것은 처음이다. 박 대통령은 "외국 헤지펀드 공격으로 (합병이) 무산된다면 국가적으로 큰 손해였고 (삼성 지원은) 국가의 올바른 정책 판단"이라고 했다. 당시 국민 여론과 대다수 증권사들도 합병에 찬성이었다는 사실도 지적했다.

그러나 특검은 안종범 전 수석, 문형표 전 장관이 국민연금을 움직여 합병에 동의하도록 한 사실과, 이후 삼성이 최순실씨의 독일 회사와 220억원 규모의 계약을 맺은 뒤 80억원을 송금하고 또 미르·K스포츠재단에 204억원을 출연한 사실 간의 인과관계를 추적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세월호 7시간'과 관련한 성형시술설에 대해 "전혀 아니다. 밀린 결재를 하며 (사고를) 체크하고 있었다"며 "헌재 재판을 통해 이번만큼은 허위가 완전히 걷혔으면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처음부터 본인이 직접 나서 적극적으로 해명했더라면 상황이 여기까지 오진 않았을 것이다. 박 대통령은 이른바 '문화계 블랙리스트'에 대해서도 "전혀 모르는 일"이라고 했다.

여기까지는 아직 명백한 증거 없이 양측 견해가 팽팽히 맞서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이날도 최순실씨에 대해 지인일 뿐이라며 "어떻게 지인이 모든 걸 다 한다고 엮어서…"라고 마치 사소한 일인 것처럼 말한 것은 납득할 수 없다. 박 대통령이 문화와 스포츠 융성을 위해 재단을 만들었다는 것을 인정한다 해도 어떻게 800억원 가까운 기금을 최씨 일당과 같은 무자격자들에게 통째로 맡길 수 있는가. 최씨 같은 사람이 사실상 장관과 수석을 임명하게 한 것을 수긍할 국민도 거의 없다.

결국 특검이 증거로 박 대통령의 혐의를 입증하느냐, 헌재가 어떤 판단을 내리느냐로 모든 논란이 종식될 것이다. 대통령이 국정을 담당할 자격을 상실할 만한 중대한 위법 행위를 저질렀느냐가 그 기준이다. 법과 법관의 양심 외에 다른 어떤 고려도 있어선 안 된다. 자칫 큰 후유증을 낳을 수 있다. 모두 자중(自重)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