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삶의 질이 지난해보다 7단계 하락한 세계 47위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18일 발간한 '2016 세계 속의 대한민국'에서 연구개발이나 과학기술 발전 분야는 세계 상위권을 기록했지만, 사회·노동·삶의 질과 관련된 지표는 여전히 하위권에 머물러 대비를 이뤘다고 밝혔다.

'세계 속의 대한민국'은 국제무역연구원이 매년 170여개의 경제·무역·사회지표를 기준으로 한국의 세계 순위를 정리하는 것으로, 관련 내용은 국제무역연구원 홈페이지(http://iit.kita.net)에서 확인할 수 있다.

먼저 한국의 삶의 질 지수(2016년)는 4.95점(10점 만점)으로 세계 47위를 기록했다. 이는 미국(8.26점·18위)이나 일본(8.11점·20위)은 물론 중국(5.26점·45위)보다도 낮은 순위다. 1위는 스위스(9.83점)였다.

한국의 삶의 질 지수가 이와 같이 낮게 나타난 데는 저성장과 높은 노동강도, 실업률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1인당 연간 노동시간은 2113시간으로 3위, 실업률은 3.6%로 14위를 기록한 반면 경제성장률은 2.6%로 104위에 머물렀다.

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는 청년 무직자인 '니트족'의 비율(2014년)은 18.0%로 15위, 자영업 비율은 26.8%로 6위에 올랐다. 여성 1인당 출산율(2015년)은 1.26명으로 166위였다.

국가이미지(2016년)는 16위로 전년 대비 1단계 하락했으며, 국제경쟁력은 29위로 4단계 하락, 투명성지수는 43위로 3단계 하락했다.

이와 대비해 과학 기술이나 연구개발 정도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한국의 정보통신기술(ICT) 발전지수(2015년) 1위, 인터넷 속도(2015년) 1위, 전자정부지수(2016년) 3위 등 정보통신 부문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휴대폰 출하량은 한국(삼성)이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미국(애플), 3위는 중국(화웨이)이었다.

글로벌 브랜드 가치는 삼성이 452억9700만 달러로 세계 7위에 올랐다. 1인당 연구개발 투자액(2014년)은 1200.4달러로 14위였다. 그외 교역규모(2015년, 9630억 달러)와 무역수지(900억 달러)도 각각 6위, 4위로 상위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