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희 경제부장

7년 전 세계적 생활용품 업체 피앤지(P&G)의 아기용 기저귀 팸퍼스를 생산하는 일본 공장 근로자 300여 명이 일자리를 잃고 길거리로 나앉을 위기에 몰렸다. 경쟁력 떨어지는 일본 공장은 문 닫고, 생산 라인이 중국으로 옮겨가는 게 불 보듯 뻔한 상황이 닥쳤기 때문이다. 이미 같은 공장 안에 있던 생리대 라인은 중국 이전이 가시화되던 시점이었다.

팸퍼스는 역사가 반세기도 넘는 일회용 기저귀 브랜드다. 빅터 밀스라는 이 회사 엔지니어가 손자를 위해 좋은 기저귀를 만들어보겠다고 개발해서 1961년 미국 시장에 내놓은 이후 글로벌 1위 기저귀 브랜드가 됐다. 하지만 일본 시장에서는 성적이 신통치 않았다. 당시만 해도 팸퍼스는 일본 토종 기저귀에 밀려 일본 내 점유율이 4위에 그쳤다. 미국 아기들한테 잘 맞게 만들어진 제품이라 일본 아기들 체형에는 잘 맞지 않아 일본 엄마들 반응이 시큰둥했다. 가뜩이나 아기가 적게 태어나 기저귀 시장이 정체된 데다 소비자들로부터도 외면받으니 본사 차원에서는 '낙제생' 일본 공장을 문 닫고, '꿈나무' 중국 시장으로 공장을 옮겨가는 게 당연했다. 땅값 싸고, 인건비 싼 데다 급성장하는 시장을 둔 중국이 어느 모로 봐도 일본보다 유리한 입장이었다.

그런데 실직(失職) 위기에 직면한 일본 팸퍼스 공장의 근로자들은 남다르게 대처했다. 공장장과 R&D 담당 등이 근로자를 대표해 일본 법인에 나와 있던 본사 경영진을 찾아갔다. 머리에 빨간 띠 두르고 '공장 이전 결사반대' 같은 항의 방문을 하러 간 게 아니었다. 이들은 소비자상담실에 접수된 소비자 불만 등을 제시하면서 "장인 정신을 발휘해 더 좋은 신제품을, 더 낮은 원가에 만들어서 회사 사정을 개선하고 싶다"고 경영진을 설득했다. 그 자리에 참석했던 경영진이 이들의 설득에 숙연해졌다고 한다. "우리는 매출 지표만 보면서 일본 공장을 옮겨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했었다. 그런데 공장 사람들을 만났을 때 진심이 느껴졌다. 가족을 먹여 살릴 일자리가 사라질지 모른다는 그들의 절박함, 그 일자리를 자신들의 노력으로 지켜보겠다는 간절함이 와 닿았다."

일본 팸퍼스 공장은 공장 이전을 막기 위해 그해만 반짝 혁신한 게 아니었다. 원가를 단돈 1센트(약 11원)라도 더 낮추기 위해 모든 아이디어를 짜내고, 일본 아기들한테 더 잘 맞는 기저귀로 제품을 개선해 나가는 혁신을 지금까지 7년간 이어왔다.

그 간절한 현장 혁신은 기대 이상의 성과로 돌아왔다. 현재 일본 팸퍼스 공장의 생산 원가가 중국 팸퍼스의 평균 원가보다도 더 낮아졌다. 제품은 더 좋다. 일본 내 매출이 두 배로 껑충 뛰면서 점유율 1위가 됐다. 소문이 나면서 급기야는 중국의 부유층 소비자들도 '메이드 인 차이나' 팸퍼스 대신 '메이드 인 저팬' 팸퍼스를 찾기 시작했다. 그러자 올해 본사에서 새로운 결정을 내렸다. 그동안 중국 팸퍼스 공장에서는 가격대별로 기저귀를 4등급으로 나눠 생산해 왔는데 중국 내 최고급 생산 라인을 확 줄이고, 대신 일본 공장에서 만든 기저귀를 중국에 갖다 팔기로 한 것이다. 생산량이 두 배로 늘면서 일본 공장에는 중국 수출용 생산 라인도 증설했다. 문 닫을 처지의 천덕꾸러기 일본 공장이 불과 몇 년 만에 그룹 내 아시아 핵심 생산 기지로 도약한 것이다.

일본 기저귀 공장 근로자들이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선택한 방법은 격렬한 투쟁이나 저항이 아니라 현장에서 일궈낸 작지만 의미 있는 혁신이었다. 경영학 대가들도 주목하는 '디테일의 힘'이다.

글로벌 경제에서는 국경을 사이에 두고 일자리가 무더기로 넘어가고, 왕창 뺏기는 전쟁이 벌어진다. 한국에서도 비슷하게 일자리가 사라져 왔다고 보면 된다. 정부는 지난해 외국인 직접 투자가 10%나 늘어나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반기지만, 밖으로 나간 돈과 일자리 기회를 생각하면 한국의 성장과 일자리가 정체된 이유를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지난 10년간 우리나라에 유입된 외국인 직접투자액은 940억달러. 반대로 우리 기업들이 해외에 공장 짓고 투자한 직접투자액은 그 돈의 2.6배쯤 되는 2445억달러다. 순유출된 돈을 일자리 기회로 환산해보면 140만개쯤의 일자리가 사라졌다는 계산이 나온다(한국경제연구원).

이런 유출을 막으려면 무엇보다 정부 차원에서 규제 풀고 한국을 기업하기 좋은 환경으로 만들어 투자와 일자리를 유치하는 게 중요하지만, 일본 기저귀 공장 사례를 보면 그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근로자들의 근로 의식이다. 스스로 일에 대한 주인 의식을 갖고 매일매일 생산 현장에서 '1센트의 기적'을 쌓아가는 게 일자리 지키는 힘일까, 일은 건성건성 하면서 걸핏하면 파업하고 길거리 쏟아져 나와 목청 높이는 게 일자리 지키는 길인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