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안전처는 어떤 일을 할까?]

5일 오후 울산 동쪽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은 역대 5위급 강도였다. 부산·울산에서는 고층 건물·영화관에서 시민들이 놀라 대피하는 일까지 있었다. 그러나 지진 대처를 촉구하는 국민안전처의 긴급 재난 문자는 지진 발생 후 18분 지난 8시 51분에야 발송됐다. 이 재난 문자마저도 지진 발생 날짜가 '7월 5일'이 아니라 '7월 4일'로 잘못 찍혀 있어 혼선을 야기시켰다. 안전처는 5분 뒤 날짜를 '7월 5일'로 정정한 재난 문자를 재차 발송했다.

일본에선 지진으로 땅이 흔들리기 수초 전에 NHK 등을 통해 경보 자막 방송을 내보낸다. 기상청이 초속 7㎞ 속도로 퍼지면서 미약한 진동을 일으키는 P파를 감지하자마자 경보를 발령해 초속 4㎞로 땅을 흔들고 지나가는 S파가 도착하기 수초 전에 '지진 예보(豫報)'를 하는 것이다. 이 수초 사이 지하철은 긴급 브레이크를 밟고 병원들은 '엘리베이터를 타지 말라'는 안내 방송을 한다.

재난에 대처하기 위해 만든 국민안전처가 휴대폰을 통해 지진을 알리는 데 18분이나 걸렸다는 것은 도무지 이해가 안 된다. 18분이면 초기 대응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기는커녕 상황이 모두 종료된 다음이다. 지난 4월 일본 구마모토 지진이 발생했을 때는 부산·경남 지역에서 진동이 감지됐으나 국민안전처는 아무 안내를 하지 않았다. 비난이 거세지자 국민안전처는 5월 27일 총리 주재 회의를 거쳐 '지진 경보 시간을 단축하고 진도 4 이상 감지되는 지역 주민에겐 긴급 재난 문자를 발송하겠다'고 약속했다. 한바탕 소동을 거치고 나서도 아무것도 달라진 게 없다. 이런 한심한 국민안전처를 어떻게 믿고 발 뻗고 자겠는가.

[[사설] 진경준 '제네시스 의혹'까지, 특임검사가 빨리 결론 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