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대 해운동맹 체제로 재편된 글로벌 해운업계에서 남은 업체들이 새로 구성 중인 제3 해운동맹에 한진해운은 참여가 결정됐지만 현대상선은 탈락했다. 2000%를 넘긴 부채 비율과 거액 적자 탓에 다른 외국 해운사들로부터 항로와 거점을 공유할 수 없다는 '왕따' 판정을 받은 것이다. 9월까지 추가 협상이 남아있지만 현대상선 회생에 적신호가 켜진 셈이다. 현대상선은 3년 전부터 구조조정 대상에 올랐지만 정부와 산업은행, 그리고 현대상선이 서로 책임을 미루며 시간을 끄는 가운데 매년 6000억~7000억원 적자를 냈고 작년 말에는 부채 규모가 4조8000억원까지 치솟았다. 해운동맹 퇴출은 현대상선에 사형선고나 다름없다. 추가 협상에서 가입될 수 있도록 현대상선과 금융 당국 모두 사활을 걸고 달려들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현대상선 자체가 존속하기 어려운 상황에 몰리거나, 혈세(血稅)를 쏟아부었는데도 해운동맹 가입이 무산되는 최악의 가능성도 배제해선 안 된다. 정부는 이런 비상 상황에도 대비해두어야 한다. 양대 국적(國籍) 해운사의 합병이나 일부 사업부 통합, 별도 지주회사가 두 해운사를 지배하면서 시너지를 노리는 방안, 법정관리를 통한 퇴출까지 가능한 모든 방법을 검토해야 한다. 두 해운사를 모두 살리겠다는 고정관념을 버려야 한다.

현대상선의 해운동맹 배제는 국내 해운업계가 글로벌 경쟁에서 경쟁력을 잃었다는 경고다. 지금처럼 구조조정이 느려 터져선 글로벌 합종연횡에서 한국 해운이 끼어들 기회를 영원히 잃을 수 있다.


[사설] 첫발 뗀 協治, 경제 살리기로 이어져야 '정치의 힘' 빛날 것
[사설] 국회 국방委 4명만 지망, 安保에 이렇게 관심 없어서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