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민(19·신성대)군은 프로 골프 선수다. 이군은 드라이버를 잘 쳤다. 평균 260m 비거리에 정확성이 뛰어났다. 동작이 간결하고 체중 이동을 잘하는 게 스윙 교과서 그대로다. 그는 올해 한국프로골프협회(KPGA) 정회원이 돼 1부 투어에 진출하는 것이 목표다. 2년 전 세미프로 자격증을 땄고 올해 일본 2부 투어 예선에도 참가한다. 지난 주말 인천 영종도의 스카이72 골프장. 가까이 다가가 이야기를 나누기 전까지만 해도 그는 키 182㎝, 몸무게 68㎏의 유연한 몸매에 기본기가 탄탄한 유망주로만 보였다.

자폐성 장애 3급이라는 핸디캡을 딛고 프로 골프 선수가 된 이승민군. 그는 아침에 일기예보에서 본 바람, 습도, 온도의 하루 추이를 꼼꼼하게 기억하는 집중력을 갖고 있다. 오전 8시 30분에 연습장에 도착해 오후 7시 30분까지 연습하는데, 전혀 요령을 부리지 않는다고 한다.

연습 라운드를 마친 그에게 "오늘 어땠어요, 제일 잘된 게 뭐라고 생각해요"라고 묻자, 수줍은 듯 눈을 맞추지 못하고 내리깔았다. 한참을 망설이다 작은 목소리로 "좋았어요" 한마디 했다. 이렇게 인터뷰가 시작됐다. 그를 5년째 지도하는 김종필 프로가 나서서 "드라이버는 국내 투어에서도 정상급 수준"이라고 하자, 이군은 "짝대기"라고 했다. 막대기처럼 똑바로 칠 수 있다는 이야기다.

그는 자폐(自閉)성 장애 3급이다. 어릴 땐 증상이 더 심한 2급이었다고 한다. 이군을 세상과 연결해온 어머니 박지애씨와 김종필 스윙 코치가 거들면서 좀 더 긴 대화가 이어졌다. 김 코치는 "다양한 선수를 지도해 봤지만 승민이에 대해선 기적이라는 말밖에 할 수 없다"고 했다. 김 코치는 "알아듣게 타이르면 이야기한 그대로 따라 하기 때문에 가장 가르치기 쉬운 제자"라고도 했다.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만 보면 이군은 5~10세 정도 되는 어린이다. 그는 지난해 KPGA 2·3부 투어와 KGF(한국골프연맹) 투어에서 300만원 가까운 상금을 받았다. 골프라는 스포츠를 통해 정상인들과 똑같이 경쟁하고 세상과 단단히 연결된 것이다.

인천 영종도 스카이72 골프장에서 이승민(19) 군이 어머니의 응원에 활짝 웃고 있다.

이군은 두 살 무렵 선천적 자폐성 발달 장애라는 진단을 받았다. 그래도 부모는 희망을 버리지 않았다. 이군은 특이하게도 파란 잔디에 하얀 공이 날아다니는 골프를 좋아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잔디를 한 움큼 쥐고 냄새 맡는 버릇이 있어 늘 코에 흙이 묻었다. 냄새만 맡아도 잔디 종류를 알아맞힌다. 한 번 다녀간 골프 코스는 손바닥 보듯 기억한다고 한다. 어머니는 거의 모든 에너지를 이군에게 쏟아부었다. 그래도 하루하루가 돌발 상황이었다. 이웃 어린이 생일날 놀러갔다가 "얘 바보 아니냐"는 또래들 놀림에 아이 혼자 집까지 도망친 일도 있었다.

이군은 외교관인 아버지를 따라 초등학교 시절을 미국에서 보냈다. 일반 초등학교에 들어갔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특수학교로 옮겼다. 변기에서 나는 물소리에 놀라 팬티도 올리지 않고 교실로 뛰어들어온 적도 있다.

인천 영종도 스카이72 골프장에서 이승민(19) 군이 잔디 뿌리의 향을 맡고 있다.

그가 자폐의 동굴을 조금씩 벗어나게 해준 것은 스포츠였다. 처음엔 사회성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될 듯하여 아이스하키 클럽팀에 보냈다. 1년에 80~90게임을 하러 미국 전역과 캐나다를 다녔다. 자기가 잘하는 걸 하게 된 승민이는 웃음이 많아졌다. 중학교 때 한국으로 돌아온 뒤엔 골프를 시작했다. 이군이 좋은 샷을 날릴 때마다 어머니는 주먹을 불끈 쥐어 보였다. 그러면 이군도 따라 했다.

이군은 자신보다 훨씬 공을 잘 치는데도 성적이 안 좋다고 부모에게 머리를 쥐어박히는 또래 아이들 모습을 보고 겁에 질린 적도 있다. 그럴 때마다 이군은 "엄마는 이끌어주고, 아빠는 기다려주고"라는 말을 반복했다고 한다. 자신이 사랑받으며 자란 것에 대한 고마움을 나타내는 그만의 화법이다. 주치의인 분당 서울대병원 유희정 교수(정신건강의학과)는 "승민이는 자폐가 있더라도 장점을 최대한 살려 자아실현을 할 수 있게 된 좋은 본보기"라고 했다. 이군에게 장래 꿈이 무엇인지 물었다. "마스터스" "승가원" 같은 단어가 나열됐다. 메이저 골프대회인 미국 마스터스 대회에 출전하고, 언젠가 TV에서 본 장애복지시설 승가원 어린이들을 돕고 싶다는 말을 이군은 그렇게 했다.

자폐증, 2만명 될 듯… 개인운동이 힐링에 큰 도움

수영·마라톤·골프·승마 등 좋아

지난해 국내에서 자폐성 장애로 병원 진료를 받은 환자는 7728명으로, 인구 1만명당 1.5명꼴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에 따르면, 병원 진료를 받은 자폐성 장애인은 2011년 5399명, 2012년 5980명, 2013년 6647명, 2014년 7037명으로 매년 꾸준히 늘고 있다. 심평원 관계자는 "병원 진료를 받지 못하는 환자까지 합하면 실제 자폐 장애인 수는 훨씬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자폐인사랑협회는 지난해 장애인으로 등록한 자폐성 장애인이 2만명을 넘은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자폐성 장애인들은 자기 세계에 갇혀 사회와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증상을 보인다. 감각 자극에 과민한 반응을 보일 수도 있고 반대로 지나치게 둔감할 수도 있다.

자폐아 수영선수 김진호군.

자폐증은 정확한 발병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완치'라는 개념은 없지만, 운동을 통해 감각기관에 자극을 주는 방식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정찬승 정신과 전문의는 "사람이 운동할 때 근육보다 많이 쓰는 부위가 뇌"라며 "'팔을 굽혀' '허리를 숙여' 하고 뇌에서 명령을 내리면서 굳었던 감각에 자극을 줄 수 있다"고 했다.

또 단체 운동보다는 개인 운동이 낫다는 의견이 많다. 방수영 을지대병원 소아정신과 교수는 "자칫 섣부르게 단체 운동에 참가했다가 자폐 장애인들이 오히려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며 "외부 영향을 덜 받는 상태에서 스스로 주의력을 높이고 조금씩 사회성을 기를 수 있는 수영이나 마라톤, 골프, 승마 같은 운동이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휠체어 탄 아이, 말 탄 지 여섯 번 만에 한걸음... 펑펑 울었어요"]

[온 가족 '희망의 페달' 밟아요]

자폐증 나타내는 5가지 행동

아이와 놀아주는 모습

이름을 불러도 반응하지 않는다
보통 아이는 누군가 이름을 부르면 뒤돌아보거나 주의를 기울이는 등 반응을 보인다. 그러나 자폐증이 있는 아이는 이름을 불러도 반응하지 않는다. 자폐증이 있는 아이 중 약 80%가 자기 이름에 반응하지 않는다.

공동 관심이 없다
공동 관심이란 다른 사람이 바라보는 물건이나 행동을 같이 바라보는 것을 말한다. 보통 아이들은 타인의 시선에 따라 자신의 시선을 옮기거나 손으로 가리키는 곳을 바라보거나 자신의 장난감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러나 자폐증이 있는 아이는 다른 사람이 무언가를 가리켜도 쳐다보지 않고, 사람과 물건을 번갈아 보지 않는다. 또 다른 사람에게 장난감이나 물건을 가리키거나 보여주지 않는다.

다른 사람을 따라 하지 않는다
보통 아이는 다른 사람의 흉내를 낸다. 다른 사람의 표정을 따라 하기도 하고, 특정한 소리를 자기 목소리나 박수, 비슷한 행동을 하며 흉내 내기도 한다. 그러나 자폐증이 있는 아이는 다른 사람의 표정이나 손동작을 따라 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다른 사람에 대해 감정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아이는 다른 사람에 대해 반응을 보인다. 다른 사람이 웃으면 함께 웃거나, 다른 사람이 울면 같이 울고 걱정하는 행동을 보인다. 그러나 자폐증이 있는 아이는 다른 사람의 미소, 놀이에 관심갖지 않는다. 다른 사람의 고통이나 걱정에 대해서도 무관심하다.

가상놀이를 하지 않는다
보통 아이는 3살 무렵부터 엄마·아빠 놀이, 병원 놀이 등 가상놀이를 한다. 하지만 자폐증이 있는 아이는 장난감을 가지고 이러한 가상놀이를 하지 않는다. 자폐증이 있는 경우 한가지 장난감에 특히 집중하거나, 장난감을 만지는 자신의 손동작에 더 집중한다. (참고=헬스조선)

[자폐증 증상, 엄마에 대한 애착 강해도 의심을?]

활약하는 자폐증 천재들

영상 분석전담 9900부대의 일원인 나탄 일병은 혼자 일할 때 '에이스' 정보부대원의 면모였지만, 동료와 대화할 때는 부자연스러웠다. 상대방의 눈을 제대로 바라보지 못했고 고개는 시종일관 비딱했다. "일본 만화 '나루토'가 너무 좋다"는 등 큰 소리로 혼잣말하기도 했다. 자기 내면세계에 갇혀 다른 사람과 소통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자폐증(自閉症)을 앓는 것이다. 나탄 일병은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이 나한테는 보인다"면서 "매일 특정 지역의 위성 또는 항공사진이 주어지면 이를 판독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고 말했다. ▶ 기사 더보기

이스라엘 텔아비브 보안군 본부의 9900부대 영상 분석실에서 22일 자폐증이 있는 나탄(20·가명) 일병이 모니터로 위성 지도를 판독하고 있다. 그는 일반인들보다 뛰어난 관찰력과 기억력을 지니고 있어 군 복무 2년간 영상 정보 분석에서 많은 성과를 냈다.
서울대 기악과 정시모집에 합격한 강원도 원주 치악고 이들림군

서울대는 31일 “강원도 원주 치악고 3학년 이들림(19)군이 2016학년도 음대 기악과 정시모집에 최종 합격했다”고 밝혔다.

초등학교 5학년 때 피아노를 시작한 이군은 이미 유명한 장애인 피아니스트다. 이군은 제4회 전국장애학생 음악콩쿠르에서 금상을 탔고, 2014년에는 전 세계 지적·자폐성 장애인들의 음악 축제인 '평창스페셜뮤직 & 아트페스티벌'의 개막 연주를 맡기도 했다. 이외에도 여러 대회에 참가해 수상했고 활발한 공연 활동을 하고 있다.

지적장애 3급을 갖고 태어난 이군은 피아노를 치기 전까지는 자폐증상까지 보였다고 한다. 하지만 이군이 초등학교 5학년때, 한 번 들은 찬송가를 처음부터 끝까지 건반에 쳐냈다. 그의 어머니는 이때부터 이군의 피아노 재능을 키워주기 시작했다. ▶ 기사 더보기

그는 ‘왕따’ 였다. 타멧은 책에 이렇게 썼다. ‘나는 누군가와 가까워지길 바랐지만 그건 물리적 거리가 아닌 정서적인 친밀감이라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했다. 그래서 운동장에서 뛰어노는 다른 아이들 가까이 가서 그 친구들 몸에서 뿜어져 나오는 온기를 느끼려고 했다’(145쪽). 아이들은 불쑥 튀어나와 몸을 만지는 타멧을 싫어했다. 간간이나마 어울려주는 친구는 그와 마찬가지로 외톨이인, 갓 이민 온 외국인 친구들뿐이었다.

다행히 학교 성적은 좋았다. '암기의 달인'이었기 때문이다. 역사·영어·불어·독어는 A, 수학은 B였다. 수학이 B라는 대목이야말로 타멧의 남다른 사고 구조를 잘 드러내준다. ▶ 기사 더보기

석학 증후군 환자인 다니엘 타멧은“저 같은 아이들에게 희망을 주려고 이 책을 썼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