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집권 이후 중국의 언론·인권 현실이 '문화대혁명 시대'로 퇴보하고 있다는 비판이 중국 안팎에서 잇달아 제기됐다. 언론 자유는 과도한 검열, 인권은 자아비판 부활에 침해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 개혁파 언론인 저우루이진(周瑞金·76) 전 인민일보 부총편집장은 최근 홍콩 봉황망에 기고한 논평에서 "최근 중국 정부의 선전 정책이 적정한 수준을 넘어 과도한 검열로 변질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1990년대 덩샤오핑의 개혁·개방을 지지하는 글로 명성을 얻었다. 저우 전 부총편집장은 "최근 중국의 선전 책임자는 이데올로기를 전파하는 선을 넘었다"며 "그들은 미디어를 기차 시간표 조정하듯 마음대로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헌법에 규정된 표현의 자유는 반드시 보장돼야 한다"며 "여론이 천편일률적이던 시대는 이미 지나갔다"고 했다. 그는 최근 랴오닝성 선전부장이 "부정적 경제 보도를 자제하는 것이 매체의 임무"라고 말한 것을 지적하며 "과도한 검열과 편집 간섭은 시진핑 시대 개혁 방향과도 안 맞는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도 2일 "문화대혁명 시절 횡행했던 '자아비판'이 시진핑 시대 부활했다"고 전했다. WSJ는 "시 주석이 부패와 전쟁을 벌이면서 자아비판을 다시 끄집어 냈다"며 "관영 TV 뉴스는 재판도 받지 않은 범죄 용의자가 자신의 죄를 뉘우치는 장면을 방송하고 있다"고 말했다. 공안(公安)은 관대한 처벌을 미끼로 용의자의 'TV 자아비판'을 압박한다는 것이다. 외국인도 예외가 아니다. 중국에서 인권 운동을 하던 스웨덴 출신 피터 달린은 안보 위협 혐의로 체포된 뒤 CCTV에 나와 "깊이 뉘우친다"고 반성해야 했다. '미국의 소리 방송(VOA)'은 중국 인권 변호사 단체 자료를 인용해 "작년 여름 이후 250여 명의 인권 변호사와 시민 활동가 등이 중국 당국에 체포됐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