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3金 김종필 "김영삼은 신념의 정치인" ]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의 장례는 22~26일 5일간 국가장(國家葬)으로 치러지게 된다.

정부는 22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임시국무회의를 열어 이 같은 방침을 심의·의결한 뒤, 저녁에 해외에 있는 박근혜 대통령의 재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황 총리는 국무회의에서 "김 전 대통령은 우리나라의 민주화를 위해 평생을 헌신했고, 14대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국가 발전에 많은 업적을 남겼다"며 "정부는 이번 장례를 국가장으로 해 국민과 함께 고인의 업적을 기리고 예우에 만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장례위원장은 황 총리가, 장례집행위원장은 정종섭 행정자치부 장관이 맡는다. 장례위원회엔 정부 전·현직 고위 인사와 유족, 학계·종교계·재계와 사회단체 대표 등 900여명이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 전직 대통령 서거 시 장례위는 600~1300명 선에서 구성됐다.

김 전 대통령의 장례 기간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은 국기를 조기(弔旗)로 게양하게 된다.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에 대표 분향소를 설치하되 기타 시·도 및 전국 각지의 분향소, 재외 공관 분향소도 유가족과 협의하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서울시는 23일 정오부터 시청 앞 서울광장에 분향소를 설치하는 등, 각 지자체가 분향소를 관내 1개소 이상씩 차릴 예정이다.

영결식은 오는 26일 오후 2시 국회의사당 본관 앞에서 엄수된다. 안장식은 영결식 종료 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거행된다. 유족 뜻에 따라 김 전 대통령의 종교인 기독교식 장례 절차가 포함될 전망이다.

현재 국립서울현충원엔 전직 대통령 중 이승만·박정희·김대중 전 대통령이 가장 안쪽 남단의 국가원수 묘역에 흩어져 안장돼 있는데, 이 구역엔 더 이상 여유가 없다. 이 때문에 2006년 최규하 전 대통령도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됐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2009년 유족 뜻에 따라 서울현충원에 안장됐지만 앞선 두 대통령들보다 묘역을 축소해야 했다. 이번에 김영삼 전 대통령의 유족이 서울현충원 안장을 강력히 요청함에 따라 정부는 국가원수 묘역 외 장소를 물색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김 전 대통령 집 상도동과 가까운 장군 제3묘역과 제2묘역 사이 능선 쪽으로 잠정 결정됐다고 한다. 유족들이 김대중 전 대통령 묘소 위치도 지정했던 한 지관과 동행해서 현충원 곳곳을 살펴본 뒤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장은 기존 국장(國葬)과 국민장(國民葬)을 통합·간소화한 제도로 지난 2014년 11월 19일 시행됐다. 김 전 대통령이 첫 대상이 됐다.

국가장을 도입한 이유는 기존 국장과 국민장의 대상 구분이 모호해 전직 국가원수에 대한 예우를 놓고 불필요한 정치·사회적 갈등을 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지난 2009년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시에는 5일 국민장,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시엔 6일 국장이 각각 치러져 형평성 논란이 일었다. 정부는 2010년부터 국가장으로 통합을 추진했다.

역대 대통령 장례가 국장으로 엄수된 경우는 박정희(당시 현직)·김대중 전 대통령 두 명이고, 최규하·노무현 전 대통령은 국민장, 이승만·윤보선 전 대통령은 가족장이었다. 모두 당시 사회적 분위기에 영향을 받은 유족 측 뜻에 따른 것이었다.

국가장에서는 국장과 국민장에서 각각 9일·7일 이내였던 장례 기간이 5일 이내로 줄고, 국장 때 실시한 영결식 당일 관공서 휴무제는 폐지됐다. 국가장 비용은 국고에서 부담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조문객 식사비나 노제·삼우제·49재 비용, 국립묘지 외의 묘지 설치를 위한 토지 구입과 조성 비용은 제외된다.

TV조선 화면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