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1년 8개월여 만에 다시 당명(黨名)을 바꾸기로 했다고 한다. 당 대의원 여론조사를 벌여 그 결과에 따라 개정 여부를 결정한다고 하지만 이미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새정치민주당' 같은 새 이름이 벌써 여럿 나오고 있다.

지금 야당은 2000년에 1000년 가는 정당을 만들겠다며 새천년민주당을 창당한 이후만 따져도 이러저러한 정치적 고비마다 7번이나 이름을 바꿨다. 이번에 개정하게 되면 8번째가 된다. 2012년 시작된 19대 국회 4년 임기가 아직 몇 달 남았는데도 민주통합당, 민주당, 새정치민주연합에 이어 네 번째 당명이 된다. 현재의 새정치민주연합이라는 이름도 작년 3월 민주당과 창당준비위 단계이던 안철수 의원의 새정치연합을 합치면서 이름을 기계적으로 조합한 결과였다. 이쯤 되면 '당명이 무슨 떴다방 간판이냐'는 말을 들어도 무리가 아니다.

당명을 바꾸겠다는 표면적 이유는 현재 당명이 너무 길다는 것이라 한다. 그러나 속내는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다시 한 번 치장을 바꿔보겠다는 데 있을 것이다. 새정치연합 창당 때만 해도 여당이 '새민련'으로 줄여 부르자 어감이 좋지 않다며 '새정치민주연합'으로 불러달라고 강력하게 반발했다.

더 큰 문제는 당의 체질이나 정책 변화 없이 이름만 바꾸는 것이 체질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새정치연합은 130석이나 가진 거대 정당이면서도 이렇다 할 수권(受權) 비전이나 문제 해결 능력을 보여주기는커녕 대안(代案) 없는 반대에만 매달려 왔다. 지난 14일 서울 도심 집회에 대해서도 시위대의 불법과 폭력에 대해서는 단 한마디도 한 적이 없다.

문재인 대표가 엊그제 꺼내 든 이른바 '문(재인)·박(원순)·안(철수) 연대'라는 것도 계파 정치에 찌든 야당이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서는 당헌(黨憲)이나 당규 같은 것을 얼마나 함부로 다룰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발상이다. 당대표라는 사람이 당헌상 명백히 최고 지도 기구인 최고위원회 위에 또 다른 기구를 설치해 셋이서 권한을 나누겠다고 하고 있는 것이다. 세 사람이 당헌을 밟고 서서 법치가 아니라 인치(人治)를 하려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현직 서울시장이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선거 중립 의무를 위반한다는 논란도 피해 갈 수 없다.

지금 유권자들이 새정치연합에 묻고 있는 것은 과연 믿을 만한 정당, 국가 경영의 한 축을 맡을 수 있는 정당이냐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그렇게 해왔다고 도저히 말하기 힘들 것이다. 연이은 선거 패배가 그 증표일 것이다. 근본적 체질 변화 없이 당명을 아무리 바꾼들 그것이 얼마나 국민 마음을 움직일 수 있겠는가.

[사설] 당국 회담에 나오는 北, 변하는 만큼 얻을 수 있을 것

[사설] 무너진 그리스 보고도 '현금 복지' 타령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