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조선 화면 캡처

북한이 남북 고위급 접촉이 진행되는 와중에도 잠수함정 50여척을 기지에서 일제히 출항시키고 DMZ(비무장지대) 지역에 즉각 사격 가능한 포병 전력(戰力)을 2배 이상 증강하는 등 군사적 도발 준비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23일 확인됐다. 북한이 겉으론 대화를 제의하면서 뒤에선 전쟁 준비를 하는 양면성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군 관계자는 이날 "북한 잠수함정의 기지 이탈률이 평소보다 10배에 달한다"며 "잠수함 수십 척이 동·서해 기지를 나와 우리 탐지 장비에 식별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유례가 없는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지난 22~23일 북한 기지를 출항해 한·미 정찰 감시에서 벗어나 있는 북한 잠수함정은 전체 잠수함정(70여척)의 70%에 달하는 50여척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잠수함정을 이용해 서해 북방한계선(NLL)이나 후방 지역으로 침투해 우리 해군 함정 등을 불시에 공격하거나 특수부대원들을 침투시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한·미 군 당국은 P-3C 해상초계기 등 대(對)잠수함 전력을 늘려 초계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이 관계자는 또 "북한이 남북 고위급 접촉을 제안한 지난 21일 오후부터 DMZ 지역에서 포병 전력을 2배 이상 증강했다"며 "이들은 현재 진지에서 즉각 사격이 가능한 상태"라고 말했다. 한·미 양국군은 지난 22일 대북 정보 감시 태세인 '워치콘(Watch Condition)'을 '3'에서 '2'로 한 단계 더 격상해 북한군의 동향을 정밀 감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