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들은 분단 극복과 통일을 위해 우리 사회의 정치·이념적 갈등과 분열의 해소가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가 한국정치학회·국가보훈처·광복 70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와 공동으로 실시한 '분단 70년의 원인과 극복 과제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에서 '분단 극복과 통일에 대비해 국민적 차원에서 요구되는 것은 무엇이냐'는 질문에 '지나친 정치 이념 갈등과 분열의 완화'(36.7%)가 필요하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통일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23.4%였고, '국가관 확립 및 국민의 하나 된 마음' 21.8%, '통일 비용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변화'는 16.4%였다.

'분단 70년' 국민의식 여론조사 결과 표

분단 극복에 대한 국민 공감대 형성을 위한 최우선 과제로는 '정치권 갈등'(38.6%)과 '이념 갈등 해소'(34.8%)가 꼽혔다. 통일을 저해하는 한국 사회의 가장 큰 갈등은 무엇이냐는 질문에도 응답자의 61%가 이념 갈등을 꼽았다. 이어 계층 갈등(14.1%), 세대 갈등(12.0%), 지역 갈등(7.4%) 순이었다.

한편 분단이 70년간 지속된 가장 큰 외부적 요인은 북한이라는 응답이 53.7%로 가장 많았다. 이어 '미·중·일·러 등 주변국'이 38.4%였고, 남한 책임이라는 응답은 7.9%였다. 40대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분단 지속의 가장 큰 책임은 북한에 있다고 답했다. 40대는 북한(41.7%)보다 주변국 책임(47.9%)이 더 크다고 했다.

'남한 내부적으로는 분단 지속의 책임이 어디에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52.9%가 '정치인 또는 정치권'이라고 답했다. 이어 정부(29.6%), 언론(5.1%), 국민(4.3%) 등의 순이었다. 정부 내부적인 분단 지속 원인에 대해 응답자의 23.5%는 '주변국들의 협력을 유도하는 (통일)외교 부족'을 꼽았다. 이어 '통일에 대한 준비 부족'(23.5%), '통일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부족'(21.6%), '대북·통일 정책의 일관성 결여'(20.3%) 등이 꼽혔다.

남북이 70년간 분단을 극복하지 못하는 전체적 원인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25.4%는 '북한 체제의 경직성'을 꼽았다. 이어 '정치권과 국민의 이념 대결에 따른 갈등과 분열'이 20.5%, '정부의 일관된 대북 정책 미흡' 16.1%, '주변 강대국의 이해관계 충돌'이 15.8% 등의 순이었다. 이 밖에도 '통일 비용 등 통일에 대한 부정적 인식 확산'(7.8%) 등이 원인이라는 답변도 있었다.

남북통일의 가장 큰 장애물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미·중·일·러 등 주변 강대국'이라는 응답이 30.5%로 가장 많았다. 한반도 주변 강대국들이 자기 이해관계 때문에 남북통일을 지지하지 않거나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뜻이다. 통일을 위해선 '주변 강대국의 동의'라는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그다음 큰 장애물로는 북핵 문제(25.3%)가 꼽혔다. 특히 20대와 60대는 북핵 문제가 통일에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답했다. 그만큼 북핵 문제를 심각하게 보고 있다는 뜻이다. 이어 '대북 문제를 둘러싼 남남 갈등'(22.4%), '통일 비용'(22.4%) 등이 통일의 장애물로 여겨졌다. 자신의 이념 성향을 '진보'라고 밝힌 응답자는 남남 갈등(22.9%)이 북핵 문제(21.5%)보다도 더 큰 통일의 걸림돌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