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이 2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메르스 확산 방지 대책'을 발표한 다음 어두운 표정으로 장관실로 돌아가고 있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으로 인한 사망자와 3차 감염자가 각각 2명 나오면서 메르스와 관련한 정부의 방역 체계가 총체적 부실이라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특히 정부가 감염자들에 대한 초기 진단 및 격리에 실패한 상태에서 그동안 줄곧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공언했던 3차 감염자가 출현하자, 보건 당국의 신뢰도는 땅에 떨어졌고 국민 사이에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급성호흡기부전으로 사망한 메르스 의심환자(여·58)에 대해 유전자 검사를 한 결과 양성 판정이 나왔고, 6번째 메르스 확진 환자(71)도 사망했다고 2일 밝혔다. 보건 당국은 확진 환자 3명의 상태도 불안정하다고 밝히고 있고, 중증 질환자 중에서도 확진자가 나오는 추세여서 추가 사망자가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복지부는 또 E병원에서 지난달 28~30일 16번째 확진자(40)와 같은 병실에서 치료를 받은 70대 2명에 대해 유전자 검사를 한 결과 양성 판정이 나왔다고 밝혔다. 16번째 확진자는 2차 감염자여서 70대 2명은 국내 첫 3차 감염자다. 이에 따라 이날 메르스 환자가 6명 추가로 발생해 모두 25명으로 늘어났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2일 수도권 병원을 중심으로 병원을 찾는 외래 환자가 급감하고 호흡기 질환과 무관한 수술까지 취소가 잇따르며, 3일부터 경기도 등에서 149개 학교가 휴업하는 등 국민 사이에 '패닉 조짐'도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첫 감염자 행적을 정확히 파악해 접촉한 사람들을 빈틈 없이 추적했어야 했는데, 보건 당국이 머뭇머뭇하며 초기 방역에 실패한 것이 메르스 확산의 결정적인 원인"이라고 비판했다. 이재갑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1차 저지선을 심하다 싶을 정도로 강하게 했어야 했는데 초기 방역이 무너졌다"며 "지금이라도 신속한 검사와 격리 시스템을 갖추고 예산과 인력도 과감히 투입하는 등 새판을 짜야 한다"고 말했다.

TV조선 화면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