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해범 동북아시아연구소장

지난 30여년간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누려온 특별한 황금기가 서서히 저물고 있다는 우려를 떨칠 수 없다. 한국이 산업화의 결실을 맛보기 시작한 1980년대부터 지금까지는 단군 이래 가장 잘 먹고 잘 산 민족사의 황금기였다. 이 시기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지위는 그 어느 때보다 높았고 주변국들과의 관계도 대등했다. 한국인들은 외국에 나가 당당히 경쟁하고 성공을 거두었다. 한국이 중국·일본·러시아를 이렇게 만만하게 본 적이 고구려 이후 1500년간은 없었다.

그러나 최근 동북아에서 일기 시작한 격랑(激浪)은 황금기를 지탱해준 외교안보의 틀을 근본부터 흔들기 시작했다. 격랑의 발원지는 중국이다. 한 세대 만에 미·일이 두려워하는 초강대국으로 우뚝 선 중국은 미국 중심의 전후(戰後) 국제질서를 바꾸려 하고 있다. 작년 7월 브릭스 정상회의에서 시진핑 주석이 언급한 '중국 방안(中國 方案·Chinese Solutions)'은 중국식 해법으로 국제사회에 새 질서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AIIB(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와 '일대일로(一帶一路·육지와 해상 신실크로드)'는 그 실천이다. 중국의 '현상 변경' 전략은 필연적으로 '한반도의 현상 변경'을 수반한다. 중국이 한·미 연합훈련과 사드 문제에서 서울을 압박하면서 한편으로 '한·중 친척론'과 '한·중 동맹론'으로 달래는 것은 한국을 미국의 품에서 떼내겠다는 의도다.

중국의 부활을 가장 인정하기 싫은 나라가 일본이다. 한 세기 동안 중국에 우위를 점했던 일본은 2010년 말 경제 규모에서 중국에 추월당하자 전 국민이 심리적 총동원 태세에 들어간 듯하다. 아베는 일본을 다시 '전쟁할 수 있고 외국에 파병할 수 있는 나라'로 만들었다. 북한 유사시 중국군이 한반도에 진입하면 자위대를 보내겠다는 태세다. 아베는 역사적 진실과 관계없이 독도를 손에 넣는 것이 중국·러시아군(軍)을 상대하는 데 이롭다고 보고 있다. 일본 문화청이 '임나일본부설(說)'을 다시 끄집어낸 것도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응하려는 속셈이다. 중·일 갈등에 한국이 가장 피해 보는 구도가 재현되고 있다.

이럴 때면 한국 외교안보 부서는 으레 "믿을 건 한·미 동맹뿐"이라며 '형님'이 심판관이 돼주길 바란다. 그러나 미국은 이미 100년 전 나약한 한국보다 강한 일본을 아시아 파트너로 선택했었다. 군대도 없이 강대국 사이에서 '곡예(曲藝) 외교'를 하다가 '형님'에게 버림받은 지도자가 고종이었다. 최근 한국을 보는 미국의 표정도 점점 굳어지고 있다.

한반도로 몰아치는 격랑은 강대국의 '거대한 체스판'에서 만들어진다. 선장과 선원이 한마음으로 뭉쳐도 헤어나기 힘든 판에 한국호(號)는 사분오열, 자중지란에 빠져 있다. 갈등을 풀기는커녕 확대재생산하는 정치권, 거대한 이익집단으로 변한 공무원 조직, 혈세 빼먹기에 바쁜 일부 군(軍) 간부…. 반만년 역사에서 다시 오기 어려운 황금기가 이렇게 지나가고 있다.

역사의 기회를 놓치고 한국의 이익이 배제된 새 체스판이 짜이면 우리 후손들은 지금보다 훨씬 가혹한 도전에 직면할지도 모른다. 이제까지의 통일안보 전략은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높다. 새 판이 완성되기 전에 체스판에 끼어들어야 한다. 그런 전략과 힘을 갖춰나가야 한다. 남은 시간이 많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