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을 보고 속아서는 안 된다. 영화 '쎄시봉'(감독 김현석)은 음악영화가 아니다. 음악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멜로영화다. 더 과감하게 표현하자면 '음악과 추억을 방패막이 삼은 신파극'에 가깝다. 한 남자가 여자를 사랑하고, 두 사람은 잠시 사랑을 나누지만 여자는 곧 남자 곁을 떠난다. 긴 시간이 흐른 뒤 여자는 그 남자가 자신을 진심으로 사랑했음을 알게 된다. 굳이 이 이야기를 또 봐야할까. 그럼에도 '쎄시봉'을 봐야 하는 이유가 있다면, 그 시대를 풍미한 아름다운 사랑 노래를 그 노래가 불리던 시절의 모습과 '적당한' 이야기와 함께 들을 수 있다는 것이다.

1970년대 젊은이들이 모여들던 음악감상실 쎄시봉에는 천재 두 명이 있다. 바로 윤형주(강하늘)와 송창식(조복래). 이들과 어울리던 또 다른 뮤지션 장희(진구)는 쎄시봉 사장과 함께 윤형주와 송창식 그리고 다른 멤버 한 명을 추가해 트리오로 데뷔시킬 계획을 짠다. 우연히 장희의 눈에 띈 근태(정우)는 쎄시봉트리오에 합류하고 그들과 음악 작업을 하던 중 쎄시봉에 온 여대생 자영(한효주)을 보고 한눈에 반한다.

허다하게 반복된 이야기를 또 볼 수 있는 인내심만 있다면 '쎄시봉'은 편하게 즐길 수 있는 영화다. 젊은 세대는 말로만 들었지 실제로 분위기가 어땠는지 알 길이 없는 1970년대 쎄시봉의 풍경을 들여다보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 이 시기를 지나온 중장년층 관객은 당시의 패션, 사회 분위기 등을 보여주는 에피소드를 통해 추억 여행을 할 수 있다.

가장 눈길을 끄는 건 역시 윤형주와 송창식 등 당대를 풍미한 스타들이 젊은 배우들의 외피를 두르고 부활하는 모습이다. 강하늘의 단정한 외모와 아름다운 미성은 일탈을 꿈꾸던 엘리트 대학생 윤형주의 청춘을 소환한다. 덥수룩하게 기른 머리에 허름한 옷차림을 하고도 카리스마를 발산하는 조복래는 한국 가요사에 독보적인 영역을 구축한 뮤지션 송창식의 시작을 보여준다. 콧수염을 기른 자유인 이장희를 연기하는 진구는 또 어떻고. 쎄시봉이 전성기를 누리던 시기의 음악을 사랑하는 이들이라면 러닝타임 내내 흐뭇한 미소를 지으며 영화를 즐길 수 있다. '딜라 일라' '웨딩케이크' '하얀 손수건' '나 그대에게 모두 드리리' '담배 가게 아가씨' 등의 노래는 이 노래와 얽힌 관객의 추억을 하나씩 끄집어낸다. 그리고는 '그땐 그랬지' '그땐 그랬었는데'라며 청춘의 나를 돌이키며 영화에 빠져들 것이다. 이 노래들을 잘 모르더라도 좋은 멜로디의 곡들이 많이 삽입돼 세대를 불문하고 즐길 수 있다.

하지만 가장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쎄시봉'의 이야기는 깔끔한 에피타이저와 달콤한 디저트 사이에 낀 덜 익은 메인 요리 같다. 트윈폴리오의 '웨딩케이크'의 가사는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라는 물음에서 시작한 '쎄시봉'의 서사 자체는 나쁘지 않다. 하지만 그 시절의 음악과 분위기를 보여주는 에피소드와 인물 간 감정의 축적을 풀어내는 부분 간의 분량 조절에 실패한 건 치명적인 약점이다. 근태와 자영의 감정은 너무 쉽게 타오르고, 급작스럽게 정리된다. 이들이 사랑했었다는 것 외에 그때 그들이 어떻게 사랑했는지를 알기 힘들다. 나이 든 장희(장현성)가 근태의 사연을 추측해 정리해주는 부분도 매우 작위적으로 느껴진다. 1990년대로 온 근태(김윤석)와 자영(김희애)의 눈물이 과하게 느껴지는 건 그 때문이다.

'쎄시봉'의 서사가 아쉬운 건 이 영화가 김현석 감독의 작품이기 때문이다. 그는 과장 없이 조금씩 감정을 쌓아 은은한 감동을 주는 이야기를 할 줄 아는 연출가다. 그것이 김현석 영화의 가장 큰 장점이기도 했다. '광식이 동생 광태'(2005) '스카우트'(2007) '시라노;연애조작단'(2010)이 모두 그랬다. 하지만 김현석 감독은 자신이 가장 잘 요리할 수 있는 소재를 가지고 맛깔난 작품을 만들지 못해 그의 필모그래피에 평범한 영화 한편을 추가했다.('열한시'는 언급하지 않기로 한다)

배우들의 연기는 대체적으로 좋은 편이다. '응답하라1994'에서만큼의 매력은 보여주지 못하지만 정우는 여전히 성실히 연기한다. 강하늘과 조복래는 많지 않은 분량 속에서도 기억에 남을만한 연기를 했다. 진구와 권해효도 뒤를 든든하게 받친다.

아쉬운 건 김윤석과 김희애가 등장하는 부분이다. 이들의 연기는 그 자체로 매우 훌륭하다. 김윤석은 차분한 눈빛과 말투만으로도 인물의 감정을 담아내고, 김희애의 눈물은 언제나 관객을 울린다. 하지만 쎄시봉 시절과 중년 시절의 톤이 맞지 않아 이들의 연기는 어색하게 보인다.

2012년 '건축학개론'(감독 이용주)이 30대 남성의 감성을 건드리며 큰 성공을 거둔 바 있다. '쎄시봉'은 40~50대의 '건축학개론'이 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하지만 자기 연민에 빠진 남성을 '저건 내 이야기야'라며 바라보는 남성들을 보는 건 썩 유쾌한 일은 아니다. 아무리 그것이 '순애보'라고 해도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