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태국 푸껫에서 만난 메이(43)씨는 외형적으로는 2004년 쓰나미 이전 수준으로 회복된 것 같다고 했다. 무너진 건물은 다시 지어졌고, 해안의 리조트는 오히려 더 많아졌다는 것이다. 그는 "교통 체증도 심해지고 물가도 올라 이곳 주민들은 쓰나미 이후에 '다른 쓰나미'가 왔다고들 한다"고 말했다.

10년 전 태국을 비롯해 인도네시아·스리랑카·미얀마·인도 등 인도양의 안다만해 연안국을 강타해 23만여명의 목숨을 앗아간 쓰나미는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 14개국에 약 11조원에 달하는 피해를 입혔다. 국제 구호개발 비정부기구 월드비전에 따르면, 쓰나미 피해국의 물적 복구를 위해 투입된 돈은 약 4000억원. 17만여명이 사망하는 등 피해가 가장 컸던 인도네시아에 복구 비용의 40%가 쓰였고, 인도(18%)와 태국(6%)이 뒤를 이었다.

태국 반남켐 지역 들판에 버려진 어선에서 어린이들이 뛰어놀고 있다. 10년 전 쓰나미 때 이 마을 들판까지 밀려온 어선이다. 당시 이곳 주민 4000여명이 쓰나미로 목숨을 잃었다.

하지만 휴양지와 해안 마을의 회복 속도는 조금 차이가 있다. 자본 투입이 빠른 리조트는 금세 예전 모습으로 복구된 데 비해 일부 마을의 경우엔 심리적 충격을 받은 주민들이 떠나 슬럼화를 보이고 있다. 2004년 쓰나미 때 주민 4000여명의 약 3분의 1(1400여명)이 숨진 태국 반남켐 마을이 그런 예다. 토박이들이 떠나고 그 자리를 미얀마 난민들이 채웠지만 상주인구가 쓰나미 이전의 절반 수준인 2000명에 불과하다.

또 10년 전 쓰나미 때 시신을 비롯해 각종 건축물 잔해와 폐기름·의약품 등이 뒤섞였는데 복구 과정에서 상당량을 바다에 그냥 내버린 것도 해결되지 않은 문제로 꼽힌다. 바다가 오염돼 어획량이 줄었기 때문이다. 월드비전 강도욱 국제구호팀장은 "2004년 쓰나미의 피해를 완전히 복구하려면 앞으로 10여년이 더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