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출범 이후 지난 2년간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 기조는 여러 번 재조정됐다.

작년 2월 대통령직 인수위는 '국민행복, 희망의 새 시대'를 '국정 비전'으로 설정했다. 현 정부의 중심 슬로건으로 어어져 오고 있다.

국정 비전의 하위 개념인 국정 기조에는 약간의 조정이 있었다. 원래 대통령직 인수위가 설정한 국정 기조는 △일자리 중심 창조경제 △맞춤형 복지 △창의교육, 문화 강국 △안전과 통합의 사회 △통일시대 기반구축 등 5가지였다. 이는 작년 4월 공식 확정되는 단계에서 △경제부흥 △국민행복 △문화융성 △평화통일 기반구축 등 네 가지로 줄었다.

'슬로건'이 크게 변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국면마다 강조점을 두는 국정 현안에서는 적잖은 변화가 있었다. 이는 박 대통령이 대외 메시지 전달 창구로 활용하는 국무회의와 수석회의 발언 등에서 나타났다.

'경제민주화'의 경우, 취임 1년차에는 20차례가 넘는 회의에서 얘기했으나, 올해 언급한 것은 손에 꼽을 정도다. '경제민주화'를 대치한 게 '경제부흥' '경제활성화' '내수기반 확충'과 같은 용어였다.

'비정상의 정상화'는 작년 말 무렵부터 박 대통령이 사용한 표현이다. 그 기저에는 '법치 확립'이란 가치가 깔려 있었고, 이는 올 초부터 드라이브를 걸었던 '공공부문 개혁'을 예고한 것이었다. 철도노조 파업에 대한 강경 대응도 이런 기조에서 나왔다.

올 신년 기자회견에서는 '통일대박론'을 들고 나왔고, 이는 나중에 대북 지원책이 담긴 '드레스덴 선언'으로 이어졌다. 신년 기자회견에서는 '공무원 연금개혁'도 잠깐 언급했었다. 지난 4월 세월호 참사로 정부 책임론이 대두되자 박 대통령은 '관피아(관료+마피아) 척결'을 최우선 국정과제로 설정했다. '적폐(積弊) 해소'도 그때부터 자주 사용한 용어다. 전문가들은 "외교·통일·안보를 제외한 나머지 분야에서 국정 과제가 분산됐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