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이 24일 세월호 가족대책위 신임 집행부와 회동을 갖고 "국회의원이 의회를 떠나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측면이 있으니 이해해달라"고 했다. 이를 두고 새정치연합의 국회 복귀가 임박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문 위원장은 이날 회동에서 "여러분의 뜻을 100% 보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지만 조금 모자라더라도 이해해달라는 말씀을 이 자리에서 드리고 싶다"며 이렇게 말했다. 대책위 관계자들은 회동 직후 취재진과 만나 "(세월호 특별) 법안 내용에 대한 구체적 논의는 없었다"면서도 "빨리 국회에서 국민과 유가족이 인정할 수 있는 법안을 만들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새정치민주연합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이 24일 국회 당 대표실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비대위원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왼쪽부터 문재인·정세균 위원, 문 위원장, 박영선·박지원 위원.

새정치연합 지도부는 여당과의 세월호 특별법 협상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는 것과는 별도로 29일쯤 국회 복귀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내 핵심 관계자는 "26일쯤 의원총회를 통해 세월호 특별법 협상 진척 상황을 정확하게 알린 뒤 국회 복귀에 대한 의원들의 동의를 얻는 절차를 밟게 될 것"이라고 했다. 당내에서는 온건파는 물론 강경파들 사이에서도 "더 이상 국회에 불참하는 건 무리"라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은 이날 본지 통화에서 "오전 비공개 회의에서 '언제까지 국회를 버려둘 수는 없다. 빨리 돌파구를 찾아 등원해야 한다'고 재촉했다"고 했다.

다만 새정치연합은 세월호 특별법 협상의 진전 없이 26일 본회의 참석은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야당의 반대 속에 여당이 일방적으로 잡은 일정"이라는 것이 이유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은 26일 본회의를 밀어붙이겠다는 방침이다. 김무성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26일 본회의에서 여야 이견 없는 법안을 처리하고 국회 일정을 정상화해야 12월 2일로 정해진 예산안 처리를 할 수 있다"고 했다.

이완구 원내대표도 소속 의원들에게 공지문을 보내 "26일 본회의에 야당이 불참할 경우 단독 처리가 불가피하므로 해외 체류 중인 의원들은 즉시 일정을 조정해 귀국해달라"고 했다. 정의화 국회의장도 야당이 불참하더라도 26일 본회의는 열겠다는 결심을 굳힌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