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니와 우이치로(丹羽宇一郞·75·사진) 전 중국대사는 동북아의 긴장 고조에 대해 "일·중·한 정상 간 신뢰가 무너지면서 발생한 상호 불신이 불필요한 오해를 낳고 갈등을 증폭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현 상태를 방치할 경우 동북아 국가가 극단적인 상황을 상정해 군비 경쟁을 벌일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토추(伊藤忠)상사 회장을 지낸 중국 전문가인 니와 전 대사는 2010년 기업인 출신으로 처음 주중 대사가 됐다. 그는 2012년 일본 정부의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 국유화가 중·일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다며 반대했다.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에 반대하는 이유는.

"집단적 자위권 때문에 일본이 직접 관계가 없는 전쟁에 휘말릴 수 있다. 전쟁과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개헌 절차를 밟아야 한다. 일부에서 미국과의 동맹 강화를 위해 집단적 자위권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일본이 미국을 대신해 군비를 늘리겠다는 주장과 다름없다. 전쟁을 금지한 지금의 헌법은 일본이 전후 무력 분쟁에 휘말리지 않고 평화 국가의 길을 걸어올 수 있었던 귀중한 자산이다."

―집단적 자위권은 중국과의 분쟁에 대비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중국도 이제 경제·무역 대국이다. 중국이 일방적으로 무력(武力)을 행사한다면 세계적인 비난을 받을 것이다. 그럴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본다."

―동북아 갈등의 배경 중 하나가 영토 갈등이다.

"영토 문제는 어떤 나라도 양보할 수 없다고 본다.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해도 상대 국가가 응하지 않으면 재판이 이뤄지지 않는다. 영토 문제의 궁극적 해결 방법은 사실상 전쟁 외에는 없다. 섬 하나를 위해 전쟁을 불사할 만큼 국민이 어리석지 않다고 본다. 영토 문제는 당분간 언급하지 않는다는 식으로 동결하는 것이 최선이다. 독도의 경우 일본도 한국도 서로를 자극하는 발언을 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한·일 간 최대 쟁점은 역사인식 문제이다.

"역사적 사실은 공유할 수 있지만, 역사인식까지 공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일본과 한국이 중국 공산당의 역사인식을 공유할 수는 없지 않은가. 다만 일본은 (패전 당시) 포츠담 선언을 수락하고 샌프란시스코 조약에 서명한 만큼, 이에 대한 인식은 공유해야 한다고 본다. 세계적인 전쟁과 관련된 인식을 부정할 경우 외교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일본 정부는 고노 담화와 무라야마 담화를 인정해야 한다. 일본 정치인이 이를 부정하는 것은 외국으로부터 비판받을 수 있다."

―한·중·일 관계 개선을 위해 무엇부터 해야 하는가.

"정치와 경제 문제를 분리해 서로 도움이 되는 경제적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한·중·일은 FTA(자유무역협정)를 우선 체결해야 한다. 일본 기업과 한국 기업은 중국 시장 확대를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