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와 통일문화연구원이 공동으로 지난 1~5월 중국 단둥과 옌지 등에서 실시한 북한 주민 심층 인터뷰에서 북 주민 100명 중 70명은 북한에 살면서 장사를 해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북한에서 현재 장사나 자영업을 하는 사람이 어느 정도 될 것으로 보는가'라는 질문에는 '90% 이상이 될 것'이란 응답이 37명, '80% 이상'이란 응답이 21명, '70% 이상'이란 응답이 15명이었다.

인터뷰에 응한 북한 주민들은 "평양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한 지역은 이미 배급제가 붕괴됐고, 직장에서의 월급만으론 생활이 어렵기 때문에 주민 대부분이 장사 등 자영업을 통해 생계를 꾸려간다"고 말했다. 중국에 일하러 나왔다는 한 북한 주민은 "직장 노동자의 한 달 월급이 3000원 정도인데 그걸로는 쌀 1㎏도 못 사기 때문에 장사하지 않으면 굶어죽는다"면서 "출근하지 않으면 비판을 받으니까 일단 아침에 출근해서 도장 받고 곧바로 장마당으로 장사하러 나선다"고 말했다.

평양에 등장한 '대동강 콜택시' - 북한 평양에도 전화로 택시를 부를 수 있는 콜택시 서비스가 시행 중이라고 북한 입장을 대변하는 일본 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가 7일 보도했다. 작년 3월 택시 사업을 시작한 평양 대동강여객운수사업소는 콜택시 서비스뿐 아니라‘전자카드결제기’도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평화자동차가 만든‘휘파람’택시가 평양역 앞에 줄지어 서 있는 모습이다.

'직장에서 생산 규율이 얼마나 잘 지켜지고 있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는 86명이 '변칙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답했다. 북한 내의 생산 통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 다른 북한 주민은 "6개월 동안 직장에 안 나가면 노동단련대에 보내니까 (직장에) 나가긴 하는데 돈 벌 정신만 있지 직장에서 일할 생각은 안 한다"면서 "장마당에서 장사해서 번 돈 일부를 직장에다 내고 나머지로 먹고산다"고 말했다.

북한 주민들의 휴대폰 사용 비율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북한 주민은 "돈이 많아서 손전화(휴대폰)를 사는 게 아니고, 손전화가 있어야 장사를 해서 먹고살 수 있으니까 장사꾼들이 주로 손전화를 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