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지방선거와 함께 치러진 17개 시·도 교육감 선거에서 진보 진영 후보들이 압승했다. 5일 오전 2시 현재 진보 교육감 후보는 서울·경기·부산을 비롯한 11곳에서 앞서가는 반면 보수 교육감 후보는 3곳에서 우세했다. 2010년 선거에서 보수 교육감이 10명, 진보 교육감이 6명이었던 데 반해 진보 진영이 크게 약진(躍進)한 것이다.

이에 따라 초·중·고교와 유치원생 718만명 가운데 80%가량이 진보 교육감 관할에서 공부하게 됐다. 진보 진영은 대부분 단일 후보를 낸 반면 보수 진영은 지역마다 3~6명씩 후보가 난립하면서 보수 성향 표가 분산된 것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후보가 난립하면 패배할 걸 뻔히 알면서도 끝까지 단일화하지 못한 보수 진영이 이런 결과를 자초했다.

교육감은 초·중·고와 유치원에 대한 지휘·감독권, 교사 및 교육청 공무원 인사권, 교육 예산 편성과 조례 제정권 등 17가지 권한을 행사하는 막강한 자리다. 중앙정부가 추진하는 정책도 교육감이 거부하면 학교 현장에서 추진할 수 없다. 이번에 당선된 진보 교육감 대부분은 전교조 간부 출신이거나 전교조 지원을 받았다. 이들이 내세운 공약 역시 전교조가 주장해 온 것들이어서 사실상 전교조가 '교육 권력'을 장악했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교장이 아닌 평교사위원회가 학내 의사 결정을 주도하는 혁신학교(현재 488개)도 전교조가 만들어 확산시킨 모델이다.

4년 전 당선된 진보 교육감들은 무상 급식이나 학생인권조례 등을 공동으로 추진했다. 툭하면 '진보 교육 벨트' 이름으로 정부 정책에 반기(反旗)를 들면서 그때마다 교육 현장이 몸살을 앓아야 했다. 이들은 시국 선언에 참여한 전교조 교사에 대한 징계, 교원 평가와 학업성취도 평가 실시도 거부했다. 이번에 당선된 진보 교육감들도 정부와 갈등을 예고하고 있다. 이들이 지난달 19일 내놓은 공동 공약에는 자사고(自私高) 축소·폐지, 친환경 무상 급식 확대, 대안(代案) 역사 교과서 발행, 학생 자치 활동 활성화 등이 들어 있다. 이들은 '정부에 복종하는 교육감이 아니라 잘못을 바로잡는 교육감이 될 것'이라고 다짐하기도 했다.

이번에 당선한 진보 교육감 대부분은 30%대 득표율로 선거에서 이겼다. 거꾸로 말하면 유권자 가운데 다수는 다른 후보들에게 표를 던졌다는 얘기다. 진보 교육감들이 기존 교육 제도를 180도 뒤집으려고 시도한다면 학교 현장의 혼란과 갈등은 피할 수 없을 것이다. 그로 인한 피해는 학생·교사는 물론 학부모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갈 수밖에 없다. 교육 현장에서 마찰과 혼란을 최소화할 방안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사설] 완승·완패 주지 않은 현명한 民心 제대로 읽으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