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들의 절반 이상은 한반도가 남한의 자본주의 체제로 통일돼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사회주의 체제로 통일돼야 한다는 응답은 극소수(0.5%)에 그쳤다.

이번 탈북자 의식조사에서 전체 응답자(200명)의 54.5%는 '통일한국이 어떤 체제가 돼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남한 자본주의 체제로 단일화해야 한다'고 답했다. '통일이 이뤄지기만 하면 어떤 체제든 상관없다'는 응답은 30.0%였다. 소극적 동의까지 합치면 85%가량이 남한 자본주의 체제를 받아들이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작년 12월 말 본지와 미디어리서치가 실시한 국민 통일의식 조사에서는 '남한 체제로 단일화'가 40.1%, '남북 어떤 체제도 무방하다'는 3.9%였다. 일반 국민에 비해 탈북자들의 자본주의 체제 선호도가 훨씬 높은 것이다.

탈북자의 10.5%는 '중국식 시장 사회주의처럼 남·북한 체제를 절충해야 한다'고 답했고, '통일 이후에도 남·북한 두 체제를 각기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은 3.5%였다. 그러나 북한 사회주의 체제로 단일화해야 한다는 응답은 200명 중 1명에 그쳤다. '자본주의 체제로 통일해야 한다'는 응답은 남성(63.2%)과 50대 이상(58.8%), 남한에 입국한 지 2년이 넘은 사람(77.8%), 과거 평양·남포·개성 거주자(88.9%), 대졸 이상(75.0%) 등에서 높았다.

'북한에 살고 있을 때 통일이 어떤 방식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했느냐'는 질문에 '북한이 개혁·개방한 뒤 남한과 1대1 합의 통일될 것으로 봤다'는 응답이 37.0%, '북한 체제 붕괴 등 급변 사태에 따른 통일'이 32.0%, '북한이 점진적으로 남한에 흡수 통일'이 11.5%였다. '북한 주도의 사회주의 통일'은 14.5%에 그쳤다. '북한에 살고 있을 때 적화 통일이 실현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느냐'라는 질문에 대해선 24.5%만이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고 답했고, 52.5%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북 주민 상당수가 북한 주도 통일 가능성은 별로 없으며, 북한의 개혁·개방에 의한 통일이나 흡수 통일 방식을 예상하고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북한에 있을 때 북 체제에 이상이 생길 가능성이 얼마나 된다고 생각했느냐'는 질문에는 '10% 미만'이란 응답이 23.0%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50% 이상이라는 응답도 46.0%에 달했다.

'북한 체제에 이상이 생겼을 때 어떻게 될 것으로 봤느냐'는 질문에 대해 '남한과 통일될 것으로 생각했다'는 응답이 48.0%로 가장 많았다. '(김정은이 아닌) 다른 세력이 집권하고 다른 체제로 전환될 것'이 19.0%, '다른 세력이 집권하고 현 체제가 유지될 것' 17.5%, '중국과 통합될 것으로 봤다'가 13.5%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