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미디어리서치 여론조사에 따르면 "남북통일을 위해 우리 정부가 북한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유도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고 묻자 응답자의 70.1%는 "북한 정권을 자극해 역효과가 날 수 있으므로 신중해야 한다"고 답했다. "북한 정권의 변화를 적극 유도해 통일을 앞당겨야 한다"는 응답자는 26.8%에 머물렀다. 북한 체제의 모순을 인식하면서도 한반도 정세가 불안해질 것을 우려해서 신중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은 것이다.

또 "북한 정권이 통일을 함께 논의할 상대로 대화와 타협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아니다"고 응답한 사람이 71.5%로 "그렇다"고 답한 25.8%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모름/무응답은 2.7%였다. 4년 전인 2009년 서울대가 같은 질문으로 설문조사를 했을 때는 북한 정권은 대화·타협이 가능한 상대라는 응답이 40.9%, 아니라는 응답이 59.1%였다.

북한에 대한 인식 악화는 "북한이 우리에게 어떤 대상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한 응답에서도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북한을 '협력 대상'이라고 답한 사람이 35.5%로 가장 많았지만 '경계 대상' 또는 '적대 대상'이라는 응답자도 각각 24.0%와 20.4%로 부정적 인식이 40%를 넘었다. 북한이 '지원 대상'이란 응답자는 16.6%로 가장 적었다.

통일연구원이 1994년과 2005년 실시했던 설문조사 결과와 비교해 보면 북한이 '적대 대상'이란 응답은 1994년 7.1%, 2005년 10.2%에서 이번 조사 때 20.4%로 크게 늘었다. 반면 '협력 대상'이란 응답은 1994년 20.4%에서 2005년 41.8%로 늘었다가 이번 조사 때 다시 35.5%로 다소 줄어들었다. '경계 대상'이란 응답은 1994년 30.7%에서 2005년 20.9%로 줄었다가 이번에 다시 24.0%로 늘었다.

TV조선 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