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11일 "북한 핵실험 이후 중국 지도층에서까지도 북한이 자산(資産)이라기보다는 부채(負債)가 되어가고 있다는 인식이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이날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최근 북·중 관계가 어떻게 변했느냐'는 새누리당 김종태 의원의 질의에 대해 "3차 핵실험 이후 중국 정부 내부에서, 또 (중국) 여론 지도층 내에서 (북한이 부채라는) 이런 인식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장관은 이어 "과거 중국 정부가 북한의 안정에 최우선 순위를 두던 입장에서 자연스럽게 북한의 비핵화를 중시하는 입장으로 조금씩 변하고 있다"며 "북한이 중국과 특수한 관계가 아니라 '정상적 국가 관계'로 변해가는 경향"이라고도 했다.
북한에 대해 전례 없이 강경해진 중국 지도부의 태도는 지난 7~8일(현지 시각) 미국 캘리포니아 란초미라지에서 열린 미·중 정상회담에서도 확인됐다. 뉴욕타임스(NYT)는 미국 정부 관리의 말을 인용해 "중국은 북한의 행동 변화가 있을 때까지 김정은을 직접 포용하지 않을 것을 분명히 밝혔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중국 전문가들은 27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한·중 정상회담에서도 이런 중국의 태도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중국 전문가인 김흥규 성신여대 교수는 "북·중 관계의 돌파구가 없는 상황에서 중국도 한국의 협조가 필요하다"며 "정상회담을 기회로 우리가 주도적으로 중국을 '북한 비핵화의 파트너'로 끌어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