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북한에 생존해 있는 국군 포로는 500여명으로 국방부는 추산하고 있다. 유엔군 측은 정전 이후 1960년대까지 총 11차례의 군사정전위원회를 통해 미송환 국군 포로 문제 해결을 북측에 요구했다. 당시 유엔과 정부는 정전 당시 송환된 국군 포로 8343명 외에 추가로 2만4000여명이 북한에 더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북한은 이에 대해 '국군 포로는 전원 송환했고 강제 억류 중인 국군 포로는 단 한 명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취했다. 우리 정부는 탈북자와 귀환 포로의 증언을 통해 북한에 국군 포로가 생존해 있다는 것을 확인했지만, 적극적으로 송환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군은 이에 따라 2000년 제1차 남북국방장관 회담 때 국군 포로 문제 해결을 촉구했으나 북한은 협의를 거부했다. 2006년 제18차 장관급 회담과 2007년 제2차 남북국방장관 회담에서 군은 국군 포로 문제를 공식 제기했으나 북한은 이에 응하지 않았다. 정부는 남북적십자회담 때 이산가족 상봉자 명단에 국군 포로 명단을 끼워 넣는 방법으로 일부 생존자(19명)와 사망자(14명) 명단을 확인하기도 했다. 생존자 중 17명이 한국에 있는 가족과 상봉했다.

남북 간 국군 포로 귀환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국군 포로는 자력으로 북한을 탈출하고 있다. 1994년부터 2010년까지 총 80명의 국군 포로가 귀환했으며 이 중 51명이 생존해 있다. 2011년 이후로는 귀환한 국군 포로가 없다. 국방부 관계자는 "북한이 최근 국경지역 경계를 강화했을 뿐만 아니라 국군 포로가 점점 연로해지면서 자력으로 국경을 넘기 힘들어졌기 때문"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