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상표 한국콘텐츠진흥원장

현재 우리 사회에서는 청년 실업, 인구 노령화, 국민연금 재원 고갈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터져 나오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 청년층(15~29세)의 고용률은 2005년 44.9% 이후 계속 하락해 올해 30%대로 추락이 우려된다. 또 2026년이면 65세 인구 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 사회 진입이 예상된다. 국민연금 기금은 적립금이 정점을 찍는 2043년부터 고갈되기 시작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서로 얽힌 이들 문제에 대한 확실한 해결책은 '일자리'다. 일자리가 많아지면 꿈을 잃은 젊은이들이 다시 꿈을 꿀 수 있다. 나이 먹은 사람들도 노후 대책으로 더 이상 연금에만 기대지 않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국민연금 체계 개편 논의에서도 더 많은 선택지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콘텐츠 산업은 일자리를 만드는 데 효과적이다. 콘텐츠 산업의 고용유발계수는 12.0으로 반도체의 4.9, 자동차의 7.2보다 훨씬 높다.

우리나라 콘텐츠 산업은 매출액 10억원 미만, 종업원 수 10명 미만 영세기업이 9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환경이 열악하다. 이런 영세성은 금융권 대출·보증 심사 기준 미달로 이어져, 한 조사에 따르면 우리 콘텐츠 기업의 67%가 자금 조달 문제를 가장 큰 애로 요인으로 꼽았다.

지금까지 마련된 여러 지원제도는 우수 기업의 프로젝트 투자 중심이고 업체들에 자금이 가장 절실한 '초기 개발 및 계약' 단계에선 아무런 효과도 발휘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오는 10월을 목표로 콘텐츠 산업 안팎의 기업·기관들이 출자하거나 출연한 기금으로 조합원인 중소 콘텐츠 기업들에 금융을 지원하는 '콘텐츠공제조합' 발족을 준비하고 있다.

콘텐츠공제조합이 성공하려면 대기업이 많이 참여해야 한다. 조합 참여를 통해 대기업들은 동반 성장과 상생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무엇보다도 우리나라 대기업은 콘텐츠 산업의 최대 수혜자이기에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 적자 산업이었던 한국의 화장품 산업은 한류 영향으로 수출이 늘면서 지난해 처음 흑자로 돌아섰고, 한류 지역에서 삼성·LG의 휴대폰, 스마트TV 등 전자제품과 현대·기아차의 자동차 매출이 늘고 있다. 2012년 상공회의소 조사에서도 국내 기업 둘 중 한 곳이 "한류 덕분에 매출이 늘었다"고 응답했다.

콘텐츠공제조합이 대기업의 참여를 바탕으로 콘텐츠 산업에 '혈액'을 공급하는 '심장'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