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수 중 86%가 동료 교수의 표절 행위를 조용히 처리하거나 묵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교수신문이 창간 21주년을 맞아 전국 4년제 대학 전임교수 600명을 대상으로 이메일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62.6%가 동료 교수의 표절 행위에 대해 '비판하지만 조용히 처리한다'고 답했다. 또 '모른 척한다'는 응답도 23.7%나 됐다. 동료의 표절 행위를 공론화하지 않거나 묵인한다는 교수가 전체의 86.3%인 셈이다. 특히 동료 교수의 표절을 모른 척한다는 응답은 지난 2001년 설문조사 때의 4%에 비해 6배로 늘어난 것이다. 그사이 '즉각 비판해 책임을 묻는다'는 교수는 12.5%에서 5.7%로 절반 이상 줄었다.

표절 문제는 '교수의 무분별한 정치 참여(24.3%)'에 이어 교수 사회에서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둘째 과제(23.5%)로 꼽혔다. 표절과 관련된 '학위논문 부실 지도 및 심사' 문제를 최우선 해결 과제로 꼽은 교수도 23.3%인 것을 감안하면 전체 교수의 절반 정도가 표절 해결을 최우선 과제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들이 속한 교수 사회의 표절 문제에 대해서는 '매우 심각하다'(5.3%)거나 '대체로 심각하다'(35.3%)고 응답한 비율이 40.6%였다.

한편, 학계의 논문 표절·조작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자 주요 대학들은 속속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서울대는 17일 연구진실성위원회 강령을 현행보다 엄격하게 개정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연구 부정행위를 저지른 교수들이 진실성위원회의 조사에 불성실하게 응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고려대는 모든 신규 임용 대상 교수의 논문 표절을 검사 중이며, 앞으로 석·박사 학위논문까지 전수 검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