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 노사가 지난 2009년 인력 구조조정으로 회사를 떠났던 무급(無給) 휴직자 455명을 3월 1일 전원 복직시키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쌍용차 휴직·해고자 복직(復職)을 둘러싼 갈등과 국회의 국정조사 논란이 한풀 수그러들 것으로 보인다.

쌍용차는 지금도 인력이 넘친다. 일감이 부족해 평택공장의 3개 생산라인 중 2개는 하루 8시간, 1개는 4시간만 가동하고 있다. 특근·잔업이 없다 보니 근로자들의 임금은 2009년 쌍용차 사태 이전의 70%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승용차 판매가 조금씩 늘어나고 있지만 2011년 1534억원의 영업적자에 이어 작년에도 800억~900억원의 적자가 난 것으로 추정된다. 회사는 2015년이 돼야 흑자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인력이 늘어나면 근로자들이 나눠 가질 임금은 더 줄어들고 적자는 더 커질 수 있다. 그런데도 쌍용차 노사가 무급 휴직자 복직에 합의한 것은 정치권이 국정조사를 밀어붙이면 기업 이미지와 대외 신인도(信認度)가 추락해 회사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위기감 때문이다. 외풍을 막기 위해 노사가 일자리 나누기를 통한 고통 분담에 합의한 것이다. 쌍용차 노사는 "회사가 살아날 수 있도록 제발 좀 가만히 내버려달라는 메시지"라고 말했다.

그러나 희망퇴직자 1800여명과 정리해고자 159명의 복직 문제가 남아있어 불씨가 완전히 꺼진 것은 아니다. 쌍용차는 2009년 노사 합의대로 "생산 물량이 늘어나면 희망퇴직자를 우선순위로 복직시킬 수 있다"고 했지만 당시 노사 합의안을 거부했던 정리해고자는 복직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정리해고자들은 전원 복직을 요구하며 농성을 계속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는 쌍용차 경영이 정상 궤도에 올라서는 일이다. 신차(新車) 개발을 통해 내수 판매와 수출을 크게 늘릴 수 있어야 한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세계 자동차 업계의 경쟁이 더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쌍용차 회생(回生)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노사가 한마음으로 힘을 모으고 대주주인 인도 마힌드라&마힌드라의 적극적인 투자도 있어야 한다. 그걸 위해서도 정치권과 노동운동권은 이제 쌍용차 문제에서 손을 떼야 한다. 외부 세력이 쌍용차를 더 들쑤시다간 협력 업체를 포함해 10만명이 넘는 근로자들 생계가 끊어질 수 있다.

[사설] '책임 장관제'가 탕평 人事의 출발이다
[사설] 法官은 기록 꼼꼼히 읽고 소송 당사자 말 귀 기울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