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 고위관계자는 2일 기자들과 만나 "한·미는 지난주 중반부터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강행할 경우 필요한 후속 조치 등에 대해 협의해 왔다"며 "지난 4월과는 본질적으로 차원이 다른 제재를 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미 외교가에선 이번 북의 미사일 시험을 앞두고 미국이 보인 태도를 놓고 논란과 의구심이 번져가는 실정이다. 미국은 과거 북의 장거리 로켓 발사 징후가 드러나면 앞장서서 국제 비난 여론을 이끌어왔지만, 이번에는 그렇지 않았다.

‘시진핑 특사’와 포옹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오른쪽)가 지난달 30일 방북 중인 중국 공산당 대표단의 왕자루이(王家瑞) 대외연락부장과 포옹하고 있다. 김정은은 이날 중국 새 지도자인 시진핑(習近平) 총서기의 친서를 전달받았다. 여기에는 북한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한 우려가 포함됐을 것으로 관측됐다.

미국 국무부 빅토리아 눌런드 대변인은 지난달 26일 미국 내 민간 연구소가 위성사진 분석을 통해 '북의 장거리 로켓 발사 움직임이 포착됐다'고 발표한 직후 브리핑에서 "지금까지 있었던 것과 유사한 소문과 언론보도만 있을 뿐 새로운 것은 없다"며 '부정'에 가까운 뉘앙스로 대답했다.

반면 한국 정부는 "나로호 발사(11월 30일) 직후 북의 미사일 발사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북한이 1일 미사일 발사 계획을 공식 발표한 뒤에야, 국무부는 눌런드 대변인 명의로 성명을 내고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북한의 어떤 발사도 유엔 안보리 결의안을 정면으로 위반하는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북에 대한 직접적인 규탄·비난을 자제한 절제된 표현만을 썼다.

이를 두고 지난 4월·8월 두 차례에 걸쳐 이뤄진 백악관 관계자들의 극비 방북과 관련이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많다. 이 두 번의 방북에 대해 미국은 극도로 말을 아끼고 있다. 지난달 29일 '백악관 관계자 8월 방북'이 언론에 보도된 뒤 한국 측에서는 당시 이용된 미군 군용기의 이동 시간까지 나왔는데도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사실로 들리지 않는다"고만 했다.

그러나 워싱턴 외교가에선 오바마 행정부가 북한과 직접 관계 개선, 북의 도발 억제를 놓고 '모종의 거래'를 시도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가 번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