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25일 실시된 조선일보·미디어리서치 여론조사에서 '안철수 전 후보가 사퇴하기 전에 그를 지지했다'고 응답한 사람은 전체의 32.4%였다. 이들 가운데 20.5%(전체의 6.6%)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로, 56.9%(18.4%)가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로 이동했다. 나머지 22.5%(전체의 7.4%)는 거의가 무응답·부동층으로 편입됐다. 이들이 앞으로 어느 쪽으로 움직이느냐가 이번 대선 승패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전체의 7.4%에 이르는 이들은 이번 조사의 다른 질문에서 강한 야권 성향을 보였다. '안 전 후보가 이후 문 후보의 지원 유세를 어떻게 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안 전 후보 지지층의 61.4%가 '적극적으로 도와야 한다' 또는 '어느 정도 도와야 한다'고 응답했다. 세부적으로는 안 전 후보에서 박 후보 지지로 이동한 응답자 가운데 32.3%도 '안 전 후보가 문 후보를 도와야 한다'고 했다. 부동층으로 이탈한 안 전 후보 지지층에서는 그 비율이 40% 이상인 것으로 분석됐다.

또 '새누리당으로 정권이 재창출되어야 하느냐, 민주당으로 정권이 교체되어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안 전 후보 지지층의 68.8%가 '정권 교체'라고 응답했다. 박 후보로 이동한 안 전 후보 지지자 가운데 17.5%는 박 후보를 지지한다면서도 '정권 교체'라고 응답했다. 안 전 후보를 지지했던 부동층 중에선 50% 이상이 '정권교체'로 응답한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 응답자에서 '정권 교체' 비율은 48.6%, '정권 재창출'은 42.3%로 나왔다.

'무소속 안철수 후보가 주장했던 정치 쇄신을 잘할 정당'에서도 안 전 후보 지지층의 61.3%가 '민주통합당'이라고 했다. 부동층으로 빠진 안 전 후보 지지자 중에서도 '민주통합당'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새누리당'에 비해 10%포인트 이상 높았다.

박·문 후보로 이동한 안철수 전 후보 지지자들 가운데 각각 25.0%와 19.3%가 '앞으로 지지 후보를 바꿀 수 있다'고 응답한 대목도 주목할 만하다. 또 부동층으로 이동한 안 전 후보 지지자들의 40% 이상도 같은 대답을 했다. 안 전 후보의 과거 지지층 상당수가 아직 유동적 태도를 보이고 있는 셈이다.

이철희 두문정치전략연구소장은 "안 전 후보 지지층의 20% 정도가 박 후보가 아닌 부동층으로 갔다는 게 중요한 메시지"라며 "단일화 효과는 끝난 게 아니라 지체된 것으로 봐야 한다"고 했다. 그는 "문 후보가 현 상황 타개의 키(key)를 쥔 안 전 후보를 어떻게 끌어안느냐에 따라 나중에라도 단일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했다.

반면,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부동층으로 이동한 안 전 후보 지지층은 원래부터 무당파적 특성을 가진 집단으로 봐야 한다"며 "단일화 과정에서 느낀 실망감이 기존 정치에 대한 혐오로 전환됐을 공산이 커 이들을 끌고 오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새누리당과 민주당에 대한 정당 지지도는 각각 43.7%, 41.7%로 나타났다. 지난달 27일 본지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4.8%포인트 차이에 비해 그 격차가 2%포인트로 좁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