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게 있어서는 그림과, 글씨와, 노래와 시(詩)가 인생의 전부다."

올해 우리 나이 아흔아홉 살의 한묵 화백은 귀가 잘 들리지 않았고, 건망증도 심했다. 그러나 평생의 업(業)인 그림 이야기가 나오자 갑자기 자세를 고쳐 앉더니 "나는 그림 한 가지밖에 모른다"고 또박또박 말했다.

한국 기하추상의 거목(巨木)인 한 화백이 오는 22일부터 내달 16일까지 서울 강남구 신사동 갤러리현대 강남에서 개인전을 연다. 2003년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 선정 기념전 이래 9년 만의 개인전이다. 한 화백의 도불(渡佛) 51주년을 기념해 열리는 이 전시에는 모두 40여 점의 그림이 나온다. "한 화백이 내년에 백 살이 되는지라, 조금이라도 건강할 때 개인전을 열고 싶었다"는 것이 부인(80)의 말. 정작 한 화백 본인은 "나는 나이 같은 것엔 별로 관심이 없다. 내가 몇 살이 되었든 나는 나다. 내가 이러이러한 사람이라고 다른 사람에게 알리고 싶은 마음도 크게 없다"면서 나이에도, 전시에도 무덤덤해했다.

귀국할 때마다 머무르는 서울 이촌동 아파트에서 14일 인터뷰를 가진 한묵 화백. 뒤에 걸린 작품은 달과 우주를 형상화한 1995년작 콜라주로 그의 파리 아틀리에에 걸려 있던 작품을 이번에 가지고 왔다.

일본 가와바타 미술학교 출신으로 6·25 때 종군화가로 활동했던 한 화백은 1950년대엔 전쟁의 단상을 주제로 한 작품을 주로 그렸다. 1961년 '예술의 이상향' 파리로 떠났고, 이후 파리에 체류하며 점·선·면 등 조형요소를 탐구하는 작품으로 옮겨갔다. 1969년 아폴로11호의 달 착륙에 충격받은 후엔 우주와 인간의 관계에 천착, 대형 화면에 우주의 에너지를 가득 담은 그림을 그렸다. 작년엔 대한민국예술원상(미술부문)을 수상하기도 했다. 1980년대 초 파리에서 공부했던 오원배 동국대 교수는 "당시 파리의 한국 화가들에게 한 화백은 정신적 지주였다. 홍익대 교수직까지 버리고 '더 자유로운 예술'을 찾아 파리로 온 그분의 투철한 작가정신, 검소한 생활 등이 후배 화가들에게 귀감이 됐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야수파적 터치가 묻어나는 1950년대 초기작부터 원(圓)과 소용돌이로 화면을 꽉 채운 2000년대 작품까지 "그림을 그린다는 것은 보이지 않는 그 어떤 '힘'에의 도전"이라고 이야기해 온 한 화백 화업(畵業) 60년을 조망할 수 있다. 전시와 함께 작품 100여 점이 수록된 화집도 마로니에북스에서 출간된다. 한 화백 생애 첫 화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