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 세션 ‘직격 인터뷰’에서는 전직 수반 5명이 ‘지속 가능한 복지 모델’에 대한 자기 경험과 생각을 털어놓았다.

구체적인 해법에는 차이가 있었지만, '단순한 퍼주기식이 아니라 일자리를 통해 자립(自立)할 수 있게 도와주는 복지 시스템이 지속 가능하다'는 데는 대부분 의견을 함께했다.

특히 3세션은 무대 위 사회자 2명(함재봉 아산정책연구원장, 이지현 전 RBS 고문)이 30분마다 연사 1명을 무대 위로 불러 날카로운 질문을 던지는 형식이 2시간 30분간 쉴 새 없이 이어졌다. 이번 콘퍼런스에서 처음 시도된 파격적인 인터뷰다.

첫 번째 연사로 무대 위에 오른 빔 콕 전 네덜란드 총리는 "네덜란드 사회 보장 제도를 구축하는 데 가장 중요했던 것은 3자(노·사·정) 대타협을 통해 사회 응집력을 이뤄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네덜란드처럼 합의와 절충을 이끌어내는 전통이 없는 국가에도 적용할 수 있나"라는 함재봉 원장의 질문에 "적용할 수 있지만, 가치관과 전통은 수출품이 아니기 때문에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에후드 올메르트 전 이스라엘 총리는 '벤처 창업의 천국'을 이룬 이답게 "국민이 돈을 잘 벌도록 하는 것이 최고의 복지"라고 강조했다. 그는 작년 여름 이스라엘 청년들이 일자리를 요구하며 길거리 시위를 벌인 것에 대해 "청년들이 원한 것은 복지라기보다는 정당한 보상"이라고 말했다.

6일 열린‘아시안 리더십 콘퍼런스’의‘직격 인터뷰’에서 빔 콕 전 네덜란드 총리(오른쪽)가 진행자인 함재봉 아산정책연구원장과 이지현 전 RBS 고문(왼쪽부터)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자본주의 개혁의 모델'로 주목받고 있는 스웨덴의 예란 페르손 전 총리는 지속 가능한 복지 모델의 핵심을 한마디로 '생산적인 복지'라고 했다. 그는 "무료로 제공되는 사회보장제도가 아주 잘 되어 있어서 실직해도 아무 문제가 없고 도전도 안 하려고 한다면 비(非)생산적인 복지"라고 말했다.

로마노 프로디 전 이탈리아 총리는 “이탈리아는 전통적으로 노조가 강해서 연금을 개혁하는 것이 가장 고통스러웠다”고 말했다. 탁신 친나왓 전 태국 총리는 “개발도상국에서 복지 제도를 만들 땐 복지와 성장 간의 적절한 균형을 이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