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인터넷 중독 청소년 인구는 '100만명' 고지를 눈앞에 두고 있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이 2010년 전국의 9~39세 인터넷 사용자 7600명을 상대로 실시한 인터넷 이용 실태조사 결과, 전체의 8%에 해당하는 603명이 인터넷 중독 상태로 조사됐다.

청소년은 2457명 중 305명이 인터넷 중독으로 나와, 중독률이 12.4%였다. 인터넷 중독은 인터넷 때문에 일상생활에 장애가 있고, 금단 현상에 시달리는 등 증상이 있는 이들을 말한다. 이 통계를 근거로, 정보화진흥원은 한국의 19~39세까지 인터넷 이용 인구 2191만8000명 중 총 174만3000명이 인터넷에 중독됐고, 청소년 인구는 이 중 50.3%인 87만7000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특히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대부분은 '게임 중독' 청소년이었다. 인터넷 중독 청소년 중 65.2%(약 57만명)가 인터넷을 이용하는 주요 목적을 '게임'이라고 답한 것이다.

'게임 중독'은 단순히 개인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지난해 부산의 한 중학생이 컴퓨터 게임을 못하게 하는 어머니를 살해하고 자살한 사건이 발생해 충격을 주기도 했다. 최근 가톨릭대 산학협력단은 인터넷 게임 중독에 따른 사회적 손실 비용이 직·간접 비용을 합쳐 최소 1조7454억원에서 최대 5조457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의학적으로도 인터넷 게임 중독자의 뇌에서 마약(코카인) 중독자의 뇌에서 나타나는 이상 현상이 나타나는 사실이 확인됐다.

특히 가정 형편이 어려운 청소년일수록 게임(인터넷) 중독은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2009년 한국인터넷진흥원 조사), 게임 중독이 '빈곤의 대물림'을 낳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경제 사정 등의 이유로 보호자의 관심에서 벗어난 아이들일수록 공부에 몰두하거나 건전한 취미 생활을 하기보다는 PC방을 전전하거나 집에 틀어박혀서 컴퓨터 앞에만 앉아 있기 쉽다는 얘기다. 정부가 지난해 3월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 월평균 가구소득이 100만~200만원인 가구의 인터넷 중독률은 11.9%로 500만원 이상인 가구의 중독률(6.6%)보다 두 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러스트=이철원 기자 burbuck@chosun.com

다문화가정의 인터넷 중독률은 37.6%로 일반 가정(12.3%)의 3배가 넘는다. 중독자 중에서도 정도가 심한 경우인 고(高)위험자의 비율은 한부모가정 자녀의 경우 7.3%로 양부모가정 자녀(3%)의 2배를 넘어섰다.

이렇게 청소년 게임 중독이 심각해지자, 여성가족부는 지난해 11월 1일부터 만 16세 미만의 청소년들이 자정부터 다음날 새벽 6시까지 심야에는 온라인 게임에 접속하지 못하게 하는 '셧다운(Shutdown)' 제도를 시행했다. 하지만 부모의 주민등록번호를 도용하면 게임을 할 수 있는 점 등 때문에 실효성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