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군 당국은 북한군의 10일 두 차례에 걸친 NLL(북방한계선) 인근 포 사격은 다각적 포석이 담긴 의도적인 도발로 보고 있다.

군 고위 관계자는 "16일 시작되는 한·미 연합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을 앞두고 우리측에 경고 메시지를 전하는 한편 우리측의 대응 태세를 떠보기 위한 도발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군 당국이 이같이 판단하는 이유는 북한이 종종 UFG 연습에 맞춰 비슷한 유형의 도발을 해왔기 때문이다. 이번 포격 도발은 지난해에 비해 강도가 낮다는 게 군의 설명이다. 북한은 최근 조선인민군 판문점 대표부 서한 등을 통해 '합동 군사 연습을 강행한다면 그 자체가 관계 개선을 전면 부정하는 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북한은 1년 전인 지난해 8월 9일 UFG를 앞두고 백령도 및 연평도 인근에 130여발의 포 사격을 했었다.

북의 이날 포격 도발이 특이한 것은 해무(海霧) 등으로 기상이 좋지 않아 시계(視界)가 1km에 불과한데도 이례적으로 야간사격까지 했다는 사실이다. 보통 포 사격훈련을 할 때는 포탄이 목표지점에 정확히 떨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기상이 좋은 날을 택해서 낮에 한다. 군 소식통은 "북한이 순수한 사격훈련이 아니라 우리를 떠보려는 의도를 갖고 사격을 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말했다. 지난 6월 창설된 우리 군 서북도서방위사령부의 대응 태세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란 시각도 있다. 김정일은 지난달 김정은과 함께 2002년 2차 연평해전 이후 처음으로 해군사령부를 시찰하기도 했다.

그러나 북한이 최근 미·북 및 남북 대화가 어렵사리 재개돼 식량·시멘트 등을 지원받으려는 상황에서 '판을 깨는' 고강도 도발을 할 가능성은 작다는 것이 정부와 군 당국의 분석이다.

북한군이 서해 연평도 동북쪽 NLL(북방한계선) 인근 해상에 3발의 해안포 사격을 가한 10일 오후 우리 어선들이 조업을 중단하고 돌아와 연평도 포구에 정박해 있다.

우리 군이 이날 1차 대응 사격을 북의 포격으로부터 1시간 뒤에야 실시한 것을 두고, 지난해 천안함 폭침 및 연평도 포격사건 이후 천명해온 '북한의 도발에 대한 즉각 대응' 방침에 어긋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합참 관계자는 "우리측에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고 북한의 포탄이 NLL을 넘었는지 넘지 않았는지 여부와 북한군의 동향 등을 분석하는 데 시간이 걸렸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합참 관계자는 "아직까지 북한의 추가적인 특이 동향은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