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색 털이 무성한 손이 대뜸 내 코 앞까지 뻗어와 우뚝 멈추었다. 그의 손아귀에 펴든 패스포트 속에서 긴 머리의 아가씨가 살짝 웃고 있었다." 박완서가 마흔살에 쓴 데뷔작 '나목(裸木)'의 첫 구절이다. 6·25 전쟁으로 폐허가 된 서울. 미군 PX에 근무하는 소녀가 달러 한 장을 벌기 위해 미군 병사를 꼬여 그의 애인 초상화를 주문받으려는 장면이다.

▶소동파는 "글 중에 좋은 글은 쓰지 않을 수 없어 쓴 글"이라고 했다. '나목'의 소녀는 대학 입학 한 달 만에 일어난 전쟁으로 오빠를 잃고 소녀가장으로 삶의 최전선에 내몰려야 했던 박완서 자신이다. 그는 결혼해 남들 부러워하는 가정을 꾸린 20년 후에도 전쟁이 몰고 온 고달픔과 억울함, 절망을 잊을 수가 없었다. 그걸 누가 들어주건 말건 외치지 않으면 가슴이 터질 것만 같은 절박함, 그게 박완서 문학의 시작이었다.

▶전쟁은 박완서에게서 고향인 개성 박적골에서 키웠던 어린 시절 꿈과 청춘을 빼앗아갔다. 그는 이런 아픔을 소설에 숨김없이 드러냄으로써 자신이 구원받고 아픔 속에 세상을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에게 위안을 주었다.

▶동인문학상 심사 자리에서는 아무리 가까운 작가 작품이라도 완성도가 떨어지면 앞장서 칼날 같은 비평을 하던 박완서였다. 그런 한편 여자 후배가 임신을 하면 "순산하려면 잘 먹어야 한다"며 갈비와 냉면을 사주고 소주병 가득 참기름을 담아주기도 했다. 설날 출판사 편집자들이 세배를 가면 직급에 따라 1만원 2만원씩 세뱃돈을 주었다. "이념이라면 넌더리가 난다"고 입버릇처럼 말하면서도 80년대 자유실천문인협의회(현 작가회의)가 어려울 때는 남몰래 수백만원씩 도왔다.

▶작년 8월 나온 그의 생애 마지막 책 제목은 '못 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였다. 그 직전 나온 마지막 동화책 제목은 '이 세상에 태어나길 참 잘했다'이다. 이런 아쉬움도 있고 저런 어려움도 있지만 그래도 인생은 살 만하다는 게 그의 노년의 심경이었을까. 용인 천주교 공원묘지에 있는 앞서 간 그의 남편과 아들 묘비에는 박완서의 이름도 새겨져 있다. 생년월일만 있고 몰년(沒年)은 비어 있던 자리가 이제 채워지게 됐다. 박수근의 그림에 나오는 나목을 보고 박완서가 한 말이 떠오른다. "조금만 더 견디렴. 곧 봄이 오리니. 꼭 이렇게 말하며 서 있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