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표 총장을 둘러싼 가장 큰 논란거리 중 하나가 '온라인(on-line) 전기자동차'와 '모바일하버(mobile harbor)' 프로젝트다. 서 총장이 제안한 이 프로젝트는 지난해 500억원, 올해 250억원의 정부 예산 지원을 받아 현재 카이스트 주도로 연구개발이 진행 중인데, 경제적 타당성이 없는 "허황된 구상"(서울대 공대 A교수)이라는 지적이 과학계와 일부 산업계에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온라인 전기차는 도로 지표면 아래에 전원 공급장치를 깔아 전기차가 주행하면서 무선으로 전기를 공급받게 하자는 구상이다. 일반 전기자동차가 내장한 배터리만으로 주행하는 반면, 온라인 전기자동차는 배터리는 물론 도로 주행 중에 전차처럼 전원을 공급받는 방식이다.

온라인 전기차는 전기차 보급을 막는 최대 걸림돌이던 배터리 용량의 한계를 돌파할 수 있는 최적의 방식이라고 서 총장은 주장한다. 도로 주행 중에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니 배터리를 작게 해도 되고, 특정 구간을 반복적으로 다니는 차량에 온라인 전기차는 고유가 시대를 극복할 수 있는 적절한 대안이어서 중요한 기술 자원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徐총장 추진 '모바일 하버' '온라인 전기자동차' 논란… 모바일하버와 온라인전기차에 대해 미래 핵심기술이 될 것이라는 전망과 세금 낭비에 그칠 것이라는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사진은 카이스트 문지 캠퍼스에서 모바일 하버의 모형을 수조 속에서 시연하는 모습(위쪽)과 온라인전기차가 대기하는 모습.

반면 과학계의 비판자들은 온라인 전기차가 기술적으로 성공 불가능하거나 국민 세금만 축낼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서울대 공대의 한 교수는 "온라인 전기차가 만드는 강력한 자기장에 행인이 영향을 받아 건강을 해칠 수 있다"며 "설령 기술적으로 성공하더라도 수천억원의 국민 세금에 상응하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판자들은 경제적 실익이 없다는 주된 근거로 전원 공급 장치를 묻기 위해서는 현행 도로를 다 파헤쳐야 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도로를 파헤쳐 다시 깔아야 하는 비용과 온라인 전기차로 절약되는 에너지 비용을 감안하면 수지 타산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반면 카이스트측은 "유가가 절약되는 비용을 계산하면 충분히 손익 분기점을 넘는다"고 반박했다.

모바일하버, 즉 '움직이는 항구' 구상 역시 양측 주장이 극과 극을 달린다. 모바일하버는 선박이 부두로 오는 대신, 부두가 선박까지 이동해 하역 작업을 한다면 수심이 얕은 바다도 대형 선박이 올 수 있다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해 현재 카이스트 주도로 개발 중이다.

이 같은 구상에 비판적인 한나라당 박영아 의원은 "해상에서 하역 작업을 하면 육상보다 6배 이상 오래 걸린다"며 "이런 요인 등으로 파도가 이는 해안 지역에 사용할 수 없다는 KISTEP(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 보고서가 있다"고 말했다.

반면 카이스트측은 "파도가 이는 바다에서도 안정적인 하역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수평제어기술 등 관련 기술을 개발해 특허 출원·등록했다"며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는 있지만 불과 1년여 만에 거둔 성과이므로 모바일하버는 충분히 실현 가능한 기술이다"고 말했다.

카이스트의 한 교수는 "온라인전기차와 모바일하버의 개발은 가능하다고 본다"며 "하지만 경제적 수익과 직결되는 두 사안을 대학교에서 수행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으며 기업이나, 연구소에서 수행하는 게 더 적합해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