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합동조사단의 20일 조사 결과 발표를 앞두고 야권이 선제 반격에 나섰다.

"대통령이 사과하고 군 지휘라인을 문책해야 한다."(정세균 민주당 대표)

"이번 선거는 김정일 정권이 아닌 이명박 정권 심판이다."(정동영 고문)

야당 관계자들은 17일 조사단에서 흘러나오는 일부 내용이나 한·미 공조 분위기 등을 볼 때 "이미 (정부가) 북한 소행으로 결론을 냈다"고 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조사 결과 발표가 지방선거운동 첫날이자 노무현 전 대통령 1주기(23일)를 코앞에 둔 시점에 이뤄지면 '북풍(北風)'이 선거에 영향을 끼칠 수 있어 사전에 공격적으로 차단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본 것이다. 야당은 사건 초기 천안함 사건 언급을 꺼리며 "북한 소행일 가능성은 낮다"거나 "북한으로 밝혀지면 단호히 대처해야 한다"는 등 엇갈린 반응들이었으나, 선거를 앞두곤 '북한을 막지 못한 정부 탓'으로 입장을 빠르게 정리하고 있다.

6·2 지방선거에서 국민참여-민주-민노당경기지사 단일후보로 나선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 11일 어뢰 피격설을 "억측과 소설"이라고 한 데 이어 17일에도 라디오 방송에 출연, "유속이 빠르고 시계가 30㎝, 수심이 10여m밖에 안 되고 한미합동훈련이 이뤄지고 있어 미군 정찰기가 위에서 돌고 인공위성이 감시하는 백령도 1마일 남단에서 그렇게 소리조차 안 내고 북한이 타격하고 갔다. 이런 얘기 아니냐"라면서 "북이 한 거라고 정부가 발표하면 모두가 믿고 따라야 하고 이의를 제기하면 좌익 빨갱이고 친북이라는 식의 독재정권 논리와 공포정치 의혹이 있다"고 했다.

유 후보의 이런 입장은 민주당 지도부와도 상당한 온도 차가 있는 것으로, 유 후보를 중심으로 첨예한 '천안함 전선'이 형성되는 양상이다. 유 후보의 '천안함 독자노선'에 대해 정치권에서는 "한·미 합동조사단이 모든 상황을 종합해 어뢰 피격에 의한 것으로 발표하더라도 어차피 결정적 물증을 제시하긴 어렵다고 보고 맞받아치는 전략을 선택했다"는 해석이다. 투표율이 저조한 지방선거에선 자기 지지층을 투표장으로 끌어내는 것이 승부의 관건인 만큼, 자기 지지층이 듣고 싶어하는 메시지를 통해 표 결집을 노리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유 후보의 주장이 팩트(fact)와 어긋난다는 지적이 우선 나온다. 유 후보의 17일 인터뷰 내용과는 달리, 침몰 당시 수중의 시계는 알 수 없을 뿐더러 시계가 나빠도 잠수정 활동에는 큰 지장이 없고, 수심은 10여m가 아닌 30~40m였으며 인공위성은 물속의 잠수정 활동은 감시할 수 없다는 게 군사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또 한미군사합동훈련도 180여㎞ 떨어진 곳에서 진행됐기 때문에 이번 사건과 무관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유 후보의 주장은 총 맞은 시신이 발견됐는데도, 사건 현장은 출입이 쉽지 않은 곳이고 시계가 불투명해 조준사격이 어렵다는 이유만으로 총격 자체를 부인하고 심장마비 같은 다른 원인으로 돌리려는 격"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