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인선 정치부 차장대우

140자 이내의 짧은 글로 소통하는 미니 블로그 서비스 '트위터(Twitter)' 때문에 정치권이 시끄럽다.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중앙선관위가 트위터를 선거운동에 활용할 경우 지켜야 할 기준을 밝혔기 때문이다.

트위터의 글 한 편은 최대 140자다. 이 짧은 글이 '트위터'에 등록되면 컴퓨터와 휴대전화를 통해 이리저리 퍼지는 효과를 발휘한다. 트위터의 전파력은 '팔로어(follower)'와 '팔로잉(following)'에서 나온다. 트위터에 등록하면 홈페이지를 갖게 되는데, '팔로어'는 내가 쓴 글을 받아보겠다고 등록한 사람이다. 나도 누군가의 팔로어가 될 수 있는데, 그건 '팔로잉'하는 것이다. 내가 트위터에 올린 글은 팔로어들이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팔로어들은 다시 그 글을 재(再)전파(retweet)할 수 있는데, 이 과정을 반복하다 보면 파급력은 엄청나게 증폭된다.

선관위는 바로 이 '재전파'를 금지했다. 선관위는 예비후보자가 트위터를 이용해 선거운동을 할 수는 있지만, 자격이 없는 사람이 트위터를 이용해 선거운동을 하거나 후보자를 비방 또는 허위사실을 유포하는 경우는 단속대상이라고 했다. 민주당 정동영 의원과 진보신당 심상정 전 의원 등은 국민 의사표현과 정치 참여의 자유를 제약하는 발상(發想)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트위터는 단순하고 경쾌한 의사소통 수단이다. 널리 실시간으로 정보도 구하고 친구를 사귈 수 있는가 하면, 유명인사와 대화하는 듯한 친근감도 맛볼 수 있다. 김형오 국회의장이 오늘 어디 갔는지, 노회찬 진보신당 대표가 어떤 일을 했는지, 남경필 한나라당 의원은 무슨 회의에 참석했는지 알 수 있다. 그것도 마치 나에게만 보내주는 문자 메시지 같은 형식이라 쏙쏙 들어온다.

정치인들이 트위터에 관심을 갖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특히 선거철에 어떻게든 더 많은 유권자에게 다가가고픈 정치인들에겐 더없이 반가운 소통수단이다. 게다가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2008년 대선 때 트위터 덕을 톡톡히 보았다지 않는가.

올해 선거를 앞둔 영국에선 당 차원에서 트위터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고 한다. 대신 정치인들끼리 비밀리에 모이던 시대는 끝났다고 생각하는 분위기라고 한다. 누군가는 트위터에 비밀을 퍼뜨리고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호주는 올해 선거를 '트위터 선거'라고 부른다. 트위터가 '총리와 직접 대화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는 점에서 기존의 라디오 연설보다 낫다는 이유로 정치권에서 트위터를 애용해온 분위기 때문이다. 케빈 러드 총리에겐 팔로어가 90만명이 넘는다.

우리나라에선 선거가 가까워지면서 '트위터'에 대한 환상이 더 커지는 것 같다. 보수층에선 트위터가 소위 네거티브 전략의 수단으로 활용되지 않을까 불안해하고, 진보 쪽에선 트위터에 대한 규제를 자신들과 지지층에 대한 견제로 보는 듯한 분위기다.

작년 캐나다는 트위터 사용에 대한 엄격한 규제 없이 연방 하원 보궐 선거를 치렀다. 국토 면적이 넓은 캐나다는 시차 때문에 먼저 선거가 끝난 지역에서도 전체 투표가 완료될 때까지 선거 결과를 보도하지 못하게 돼 있다. 이런 규제 때문에라도 기자들이 전국을 상대로 투표결과를 알릴 수 있는 트위터 사용을 제한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채 선거를 치렀다. 캐나다 사람들은 그래도 "선거는 잘 끝났고 세상은 두 쪽 나지 않더라"고 했다. 트위터를 두려워할 필요도 맹신할 이유도 없었다는 실제 사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