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노벨 생리·의학상은 인간 세포의 수명을 조절하는 유전자 조각 '텔로미어(telomere)'의 기능을 밝힌 3명의 미국 의학자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는 5일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엘리자베스 블랙번(Black burn) 교수, 존스홉킨스 의대 캐럴 그리더(Grei der) 교수, 하버드 의대 잭 쇼스택(Szostak) 교수가 2009년 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고 발표했다.

연구소는 "이들 3명은 세포의 유전정보를 담은 염색체 끝 단의 텔로미어의 구조와 역할을 규명하여 노화 연구와 유전 질환 치료에 혁혁한 공로를 세웠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텔로미어'란 세포의 염색체 끝 부분의 유전자 조각을 말한다. 세포는 끊임없이 분열하면서 새로운 세포를 만들어 생명력을 유지하는데, 그렇게 할수록 텔로미어는 점점 짧아지며, 어느 단계에 이르면 결국 세포가 더 이상 분열하지 못하고 노화돼서 죽게 된다. 그래서 텔로미어는 세포의 수명을 조절하는 '생체 시계'로 불린다. 현재 텔로미어를 활용한 의학 연구는 암(癌)과 유전병 치료 약물 개발, 노화 방지의학 등에 쓰이고 있다.

[생로병사의 비밀 담긴 '텔로미어'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