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19일 검찰의 MBC 'PD수첩' 광우병 방송 수사결과 발표와 관련, 방송사의 보도행태를 정면으로 비판해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동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춘추관 브리핑을 통해 "사회의 공기가 아닌 흉기" "음주운전자에 차를 맡긴 셈" "저질 방송" "도덕 불감증" 등의 단어를 써가며 방송사에 '직격탄'을 날렸다. PD수첩 광우병 보도 뿐만 아니라 지난해 '미국산 쇠고기 촛불시위'와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방송, 막장드라마 논란까지 도마에 올라왔다.

통상 민감한 현안에 대해선 ‘백그라운드 브리핑(비실명 배경설명)’을 요청했던 그는 관행을 깨고 직접 ‘실명보도’를 요청하기도 했다.

먼저 이 대변인은 검찰의 PD수첩 제작진에 대한 불구속 기소와 관련, “언론탄압”이라는 주장에 정면 반박했다.

이 대변인은 “엄청난 사회적 혼란을 야기한 편파·왜곡방송을 했는데 거꾸로 ‘언론탄압이다, 정치수사다’고 얘기가 나오는 것은 본말이 전도됐다”고 말했다.

그는 “만약 외국에서 일어난 일이라면 경영진이 국민에게 사과하고 총사퇴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다른 언론기관들도 마찬가지다. 그런 평가 잣대 어긋나는 경영진이라면 이사회나 다른 기관에서 책임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작년 촛불시위 때 중고생들이 영어로 ‘MB OUT(이명박 대통령 퇴진)’이라는 피켓을 들고 나와서 시위를 벌였고, 그게 방송에 생생하게 보도됐다”면서 “지난번 노 전 대통령 조문방송 때는 국가원수를 욕설하는 내용까지 생방송으로 나왔다”고 말했다.

그는 “전세계 어느 언론탄압하는 나라에서 그것이 가능하겠느냐”면서 “지금이 유신도 아니고 군사독재도 아닌데 어불 성설”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대변인은 PD저널리즘에 대해서도 거침없이 비판했다.

동아일보 기자출신인 그는 "전직 언론인의 한 사람으로서 말씀드리면 '게이트키핑' 기능이 없고, 주관적 판단이 객관적 진실을 압도하는 것은 언론의 본령이 아니다"며 "음주운전하는 사람에게 차를 맡긴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이어 “나도 소시적에 음주운전을 해봤지만 자기는 똑바로 간다고 하지만 옆에서 보면 비틀거리고 나아가 남한테 피해를 준다”며 “그쯤되면 사회의 공기가 아니라 흉기”라고 비난했다.

이 대변인은 “그런데도 반성과 사죄는 커녕 정치수사, 언론탄압이라고 하는 것은 사태를 한번 더 호도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대변인은 특히 노 전 대통령의 ‘조문방송’을 언급하면서 “공공재인 전파가 시청자의 선택권까지 박탈하고 모든 방송이 경쟁적으로 조문방송한 상황을 놓고도 어떤 분들은 옆의 방송보다 우리는 두세시간 덜했다는 걸 자랑으로 여기더라”고 방송사를 비판했다.

최근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일부 방송사 드라마의 선정성 문제에도 도마에 올랐다.

이 대변인은 미디어 관련법 논란과 관련, “반대논리로 제기됐던 것 가운데 하나가 공정보도가 안된다는 것과 저질방송이 될 지도 모른다는 것”이라며 “지금 공영방송의 간판을 건 방송이나 그렇지 않은 방송이나 아침부터 저녁 가족이 모인 시간까지 패륜에 가까운 내용의 막장드라마로 시청률 경쟁을 하는 게 현실이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어 “더이상 어떻게 (지금보다) 수준 낮은 방송을 만들 수 있겠느냐”며 “그런데 이런 사회적 책임, 경영적 책임에 대해 문제가 되지 않는 것은 심각한 도덕적 불감증”이라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글로벌 스탠다드에 올라 서려면 권한에 맞는 책임을 지는 사회가 돼야 한다”며 “‘나는 비판만 하지 책임지지 않겠다. 나는 나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사물을 보겠다’는 것은 언론이 아니다”고 했다. 이어 “아직도 우리 국민의 상당수는 깨어있고 선진화를 향해 나가고 있는데 아직도 일부 사람들은 사고의 시계가 80년대에 머물러 있는 것 아니냐는 착각을 들게 한다”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언론의 본령이 뭐냐”며 “건방지게 한마디 하면 옳은 건 옳다고 하고 아닌 것은 아니다고 하는게 본령이다. 시시비비 아니냐”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도 얘기하고 저도 얘기하지만 정권을 옹호하고 편들어 달라는 것이 아니다”며 “공정하게 하고 국민들에게 당당하게 책임지고, 무엇보다 시청자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높이라는 것이다. 그건 국민적인 요구”라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이후 기자들과 일문일답에서 “오늘 언론에 대해 이런저런 얘기를 했지만 ‘프레스 프렌들리’는 변함없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며 “언론의 자유에 대해서는 확고한 철학을 갖고 있지만 아니면 말고식으로 결과에 대해 책임지겠다는 생각 없이 보도하는 것들은 문제가 된다는 뜻으로 얘기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나도 (1987년) 6·10민주화운동때 종로경찰서에 출입하면서 최루탄에 목이 헐어 치료받은 적도 있고 이한열 열사때는 연세대서 시청 광장까지 취재했던 사람”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