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25일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에서 2차 핵실험을 단행하면서도 함북 일대에서 주민 소개 등 어떤 사전 안전조치도 취하지 않은 것으로 26일 알려졌다.

핵실험 당일 북한에 있었던 한 재중동포 사업가는 "25일 오전 함북 청진의 한 숙소에서 쉬고 있었는데 벽이 흔들릴 만큼 지진이 일어나 깜짝 놀랐다"고 했다. "건설 중인 10층짜리 아파트 건물 앞쪽에서 타일이 떨어질 정도의 강한 진동이 있었는데도 현장 인부들은 그대로 건물에 매달려 일을 하고 있어 자칫 대형사고로 연결될 수도 있었다"는 것이다.

이번 진동은 북한과 마주한 중국 옌볜(延邊) 지역에서도 감지돼 재중동포들은 북한에서 큰 지진이 일어난 것으로 착각했다고 한다.

북·중 국경의 한 북한 인민군 군관(장교)도 "25일 이전에 함북 일대에서 (핵실험에 대비한) 어떤 (생활) 통제도 없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은 특히 2006년 10월 1차 실험 때와 달리 이번에는 핵실험 장소 인근의 길주역 등에 대한 봉쇄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고 한다. 2006년에는 북한 보위부와 군부대가 길주역 등의 일반인 출입을 미리 통제하는 등 핵실험 징후가 뚜렷하게 감지됐었다.

최근 입국한 한 고위 탈북자는 "북한은 이번에는 물론이고 1차 핵실험 때도 사전에 주민들을 전혀 대피시키지 않았다"며 "이는 북한체제가 그만큼 인명을 경시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길주 출신의 탈북자들은 "길주 지역에는 흙 벽돌로 지은 단층집들이 많다"고 말하고 있어 핵실험에 따른 지진으로 인한 건물 붕괴, 주민 부상 등의 피해가 있었을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군사 분야에 근무했던 한 탈북자는 "북한이 핵실험 관련 정보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것은 지하 실험장 공사 등에 이동이 완전히 차단된 화성 정치범수용소 수용자들을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화성 수용소는 1급 정치범들을 가둬놓는 북한 최악의 수용소로 '한번 들어가면 영원히 나올 수 없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정치범 수용소 경비병이었던 안명철씨는 "과거 함북 일대의 정치범 1만명이 핵실험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풍계리 만탑산에 끌려가 지하갱도 작업을 했었다"고 증언했다.

[핫이슈] 북한 '2차 핵실험'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