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원재·경기 영어마을 사무총장

4월 22일자 조선일보 사설은 좌파 인권단체들에 '북한 인권 문제를 좌우 이념의 틀이 아닌 인류 보편의 인권이란 관점에서 접근하라'며 점잖게 충고했다. 하지만 이 충고는 소의 귀에 불경을 읽어준 것이나 비슷하다. 좌파 인권단체들에는 사실을 인정하고 잘못을 바로잡는 '최소한의 양식'이 없기 때문이다. 그들은 '인류 보편의 인권'에는 관심이 없다. 오직 자신들의 이익에만 관심이 있을 뿐이다.

우파 안에도 다양한 스펙트럼이 존재하듯이, 좌파 인권 단체도 두 종류로 대별할 수 있다. 정치적 이익을 추구하는 극좌종북(極左從北)단체와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좌파 상업주의 집단이 그 면면이다. 극좌종북단체는 북한 당국과 철저히 의견을 같이하며, 북한에 아예 인권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는 사람들이다.

한국의 극좌종북단체들은 북한 정치범 수용소에 갇혀 계속되는 고문과 강제노역에 시달리는 생명체들을 인간으로 보지 않는다. 노예라고 생각한다. 노예에게는 인권이 없다. 문제 자체가 없는데 어떻게 문제 제기를 하고 나아가 이를 거론까지 할 수 있단 말인가.

이와는 달리, 좌파상업주의자는 '시장친화적 경제인식'을 가지고 있다. 그들에게는 인권문제가 영원한 밥벌이 수단이다. 따라서 대의니 명분이니 하는 문제에 신경 쓰지 않는다. 남이야 전기고문을 당하건 말건, 철삿줄에 코를 꿰어 맨발로 본국으로 송환되건 말건,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1·2학년짜리 학생들을 인솔해서 공개사형 광경을 강제로 참관시키건 말건 아무런 관심이 없다. 돈벌이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좌파상업주의자들이 '진짜로' 분노를 표하는 경우가 없는 것은 아니다. 남들이 북한 인권문제를 제기할 때다. '정의'의 생산 유통 및 판매를 독점하는 것만큼 수지맞는 장사가 없는데, 독과점 사업자라는 지위가 흔들려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좌파 상업단체들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선택적 선별력'이 있다는 점도 분석 사항이다. 대한민국의 가장 나쁜 점과 북한의 가장 좋은 점을 억지로 골라내어 이를 동일한 기준으로 비교하는 놀라운 능력을 보이는 데는 이들만큼 전문성을 갖춘 집단이 없다. 대한민국은 잘못을 지적하면 돈을 내는 사람이 있고, 북한은 아무리 잘못을 지적해 봐야 돈을 내는 사람이 전혀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는 것이다.

불의는 참아도 불이익은 못 참는, '생각은 좌파처럼 생활은 우파처럼'(thinking left living right) 영위하는 사람들과 주체사상이라는 사이비 종교의 포로가 된 자들은 어떤 경우든 북한 인권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