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중근(安重根·1879~1910) 의사가 하얼빈(哈爾濱)에서 일본 제국주의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쓰러뜨린 지 올해로 100주년을 맞는다. 소설가 이문열(李文烈·61)씨가 안 의사의 하얼빈 의거 100주년을 맞아 오늘부터 본지에 소설 안중근 '불멸'을 연재한다. 안 의사는 1909년 10월 26일 오전 9시쯤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역에서 이토를 3발의 총알로 정확히 가격해 쓰러뜨렸다. 이씨는 "안 의사의 생애와 동양 평화의 큰 뜻을 21세기적 의미로 재해석하고, 테러리스트로 폄하되기까지 하는 하얼빈 의거의 정당한 의미를 돌이켜 볼 것"이라고 집필에 임하는 각오를 밝혔다. 소설 연재를 앞두고 이씨와 허동현(許東賢·49) 경희대 학부대학장(한국 근현대사 전공)이 지난 12월 29일 오후 하얼빈 의거 100주년과 소설 연재의 의미를 짚는 대담을 가졌다.

소설가 이문열씨(오른쪽)와 사학자 허동현 경희대 교수가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 100주년을 맞아 안 의사 의거의 현대적 의미와 조선일보에 연재될 소설‘불멸’의 집필 방향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전기병 기자 gibong@chosun.com

▲이문열〓안중근 의사의 삶을 세 가지 측면에서 조명할 생각이다. 하나는 그의 의거가 갖는 의미의 불멸성이다. 안 의사 관련 기록을 보면, 의거 이후 1910년을 전후해 많은 조선인들이 집에 안 의사의 초상을 모셔두고, 상점에서 사진을 공공연히 팔기도 했다고 한다. 나는 그것이 항일투쟁에 영속적인 추동력을 줬다고 본다. 또 하나는 안 의사의 이미지가 최근 테러리스트, 또는 허풍쟁이 돈키호테로 변질되는 것을 바로잡아 그의 훼손되지 않은 이미지를 복원시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비록 31년의 짧은 생을 살았지만 늘 자신을 던질 곳을 찾으려 했고, 자기에게 주어진 소명을 기다렸던 인간 안중근을 보여주고 싶다.

▲허동현〓얼마 전 일본에서 유행한 만화 '혐한류(嫌韓流)'는 안 의사를 '우둔한 테러리스트'라고 매도했다. 만화는 그 근거로 "안중근은 이토를 저격했지만 일본은 맥아더를 쏘지 않았다"는 논리를 편다. 그러나 맥아더는 일본을 군국주의로부터 민주주의로 전환시킨 사람이다. 이토는 정확히 그 반대의 행위를 한 사람이므로 비교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더구나 안 의사는 적의 수뇌를 척살했을 뿐, 무고한 민간인의 목숨을 해치지 않았다. 항일 의병활동을 할 때도 포로로 잡힌 일본군을 죽이지 않고 풀어줬으며 이토를 저격한 후에는 만국공법에 따라 정당한 포로 대접을 해 줄 것을 일본 측에 요구했다. 이것은 그가 테러리스트가 아니라 대(對) 일본 전쟁에 나선 의병장이라는 자기 정체성을 갖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이〓그러기에 안 의사의 행적을 복원하는 것만으로도 그가 9·11 테러범들과는 다르다는 것을 보여 줄 수 있는 것이다. 이토와 안중근은 근대국가 건설이라는 동일한 목표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이토는 그것을 위해 주변 국가들을 희생시켰고, 안 의사는 이웃 나라들과의 공동번영이라는 더욱 원대한 뜻을 품었다.

▲허〓일본의 대동아공영이 조공(朝貢) 질서에 따르는 제국주의적 평화라면, 안 의사가 주창한 동양평화론은 요즘 말로 하면 다자(多者)적이고 수평적인 국제 질서다. 안 의사는 한·중·일 3국 젊은이들로 공동의 군대를 조직하고, 각국 젊은이들이 서로의 언어를 배워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그는 이미 100년 전에 오늘날의 유럽연합과 같은 다자간 협력 질서를 꿈꿨다고 볼 수 있다.

▲이〓 일본 제국주의가 대동아공영이란 미명 아래 진행되는 바람에 안 의사가 추구했던 동양평화의 높은 뜻이 훼손된 측면이 있다. 이 부분을 부각시켜 안 의사의 사상을 보여주는 것 또한 이번 소설의 과제다.

▲허〓일본이 이토를 기념하는 행위를 보면 우익 노선의 가치가 형상기억 합금처럼 복원되는 느낌을 준다. 반면, 안 의사는 민족주의와 탈(脫)민족주의라는 일견 양립이 불가능해 보이는 가치를 모순 없이 함께 구현하길 원했다. '동양평화론'을 주장한 안 의사는 오늘날의 동아시아 공동체론 선구자로 기억할 수 있다. 이처럼 안 의사는 21세기 한국, 또는 동아시아의 역사적 과제에 해답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자산(資産)을 갖고 있다. 독자로서 이번 소설에 기대하는 바가 크다. 이토처럼 우익적 가치로만 고착되지 않는, 지금부터 우리가 만들어가야 할 새로운 한국적 가치의 원형으로 안 의사를 그려 주길 바란다.

▲이〓안 의사는 유학을 공부한 뒤 천주교를 받아들였고, 일본으로부터도 배울 것은 배운 열린 정신의 소유자였다. 그가 손가락을 자른 유명한 '단지사건'은 '신체발부 수지부모'를 강조하는 유교적 효(孝) 사상을 벗어나 상무정신에 바탕을 둔 군인이 되었음을 상징하는 사건이다. 이토를 처단하면서도 일왕의 존재를 부인하지 않은 점도 그의 민족 사랑이 전혀 맹목에서 우러나온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문열

▲1948년 경북 영양

▲서울대 국어교육과 중퇴

▲주요 작품: '사람의 아들', '우리들의 일

그러진 영웅', '시인'

▲주요 수상 경력: 동인문학상, 오늘의 작가상, 이상문학상, 현대문학상 등

허동현

▲1960년 서울

▲고려대 사학과

▲주요 저서: '일본이 진실로 강하더냐' '근대한일관계사연구' '열강의 소용돌이에서 살아남기'

▲주요 논문: '개화기(1876~1910) 한국인의 일본관', '통감부 시기(1906~1910)를
어떻게 볼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