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원석 기자

요 며칠 사이 인터넷에서 벌어지는 여러 주장 중에 어처구니가 없는 것 중 하나가 '삼양라면 살리고, 농심라면 거부하자'는 주장이다.

삼양라면을 두둔하는 쪽은 삼양식품이 조선일보에 광고를 하지 않아, 삼양 컵라면에서 금속 너트(암나사)가 나온 데 대한 기사가 본지 사회면에 지난 14일자로 보도되는 등 공격을 받는 만큼 보호하자는 입장이다. 반면 농심라면에서는 바퀴벌레가 나왔는데도 조선일보가 이를 보도하지 않는다며 농심을 공격해야 한다는 것이다.

네티즌들의 주장 가운데는 '삼양라면 한 박스 구매의 날'을 정하자는 것과, 촛불집회 때 종이컵 대신 삼양컵라면을 사용하자는 주장도 있다. 농심에 대해서는 신라면이 화학조미료의 일종인 MSG를 2배 이상 사용한다면서 불매운동을 벌이자고 하거나, 이 라면을 가장 많이 소비하는 김밥전문 프랜차이즈를 공격하자는 주장도 있다.

이 기사를 직접 취재한 기자가 보기에 이러한 주장은 터무니가 없다. 우선 삼양라면에 문제가 있었다는 것은 식품의약품안전청의 발표를 통해 확인된 사실이다. 삼양식품이 본사에 광고를 하건 말건 음식문제에 관심이 많은 독자들에게는 반드시 알려야 할 사안이다.

식약청이 조사에 착수하는 등 논란 검증이 필요한 단계가 되면 보도하는 게 정석(定石)이다. 20일자 사회면에 보도된 바퀴벌레 농심라면 기사가 바로 그렇다. 소비자가 농심측에 신고하고 식약청이 공식조사에 착수하기까지 시간이 걸려 늦게 보도됐을 뿐이다. 일부러 식품에 이물질을 집어넣고 제조사에 금품을 요구하는 '저질 소비자'가 문제되는 상황이라서 신중을 기할 필요도 있다.

그런데도 '사실'은 보지 않고 '의심'과 '추정'에 매여 상대를 공격해대는 일부 네티즌들의 모습에서, '인터넷 민주주의'의 그림자를 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