잿더미로 변한 숭례문(남대문)은 수십 대의 소방차와 소방대원들이 동원됐고, 불을 진압할 시간이 충분했음에도 왜 불길을 제대로 잡지 못했을까. 11일 숯덩이처럼 변해버린 숭례문을 둘러본 전문가들은 초기대응에 실패했기 때문이지만, 기본적으로 국보 1호인 숭례문의 구조와 특징 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데도 원인이 있다고 지적했다.

◆전통 지붕 양식 몰랐다

불을 끄기 위해 숭례문 2층에 들어간 소방대원들은 연기만 나는 것을 보고 불길이 어느 정도 잡힌 것으로 간주했다. 결국 다시 불길이 점화되는 것을 막지 못해 숭례문이 전소(全燒)되는 것을 지켜보아야만 했다. 경원대 박형주 교수(소방방재공학과)는“소방대원들이 공통적으로 말하는 내용이 노란색 연기가 나는데, 붉은 불씨는 전혀 찾아 볼 수 없었다는 것이었다”며“이는‘적심목’이란 우리나라 전통적인 지붕 양식을 소방대원들이 알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남대문 2층 지붕은 전통 건축 양식으로 되어 있다.' 기와·보토(30~60㎝ 진흙층)·적심목(지붕에 넣은 원목)·개판·회반죽(1㎝ 두께)·서까래'인 6겹으로 되어 있다. 지붕에 들어가 있는 나무 구조물인 적심은 밑에선 개판·회반죽에 가려 보이지 않고, 위에서도 지붕과 진흙층에 가려져 있다. 박 교수는"소방관들이 보았다는 노란색이나 검은색 연기는 적심목이 타 발생한 것"이라며"지붕 내부에서 타고 있더라도 밖에선 불길을 볼 수 없다"고 말했다. 보통 나무가 탈 때엔 흰색 등의 연기가 나지만 진흙 등에 덮여 있는 적심목은 산소가 부족해 불완전 연소하면서 노란색 등의 연기가 나온다는 것이다.

한국 전통 건축 전문가인 고려대 주남철 명예교수(건축공학)는 때문에“적심목에 옮아 붙은 불을 끄려면 지붕 가장 밑부분인 1㎝ 두께의 개판·회반죽 부분을 완전히 들어내고 밑에서 물을 쏘았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소방관들이 회반죽과 기와에 가려 있는 적심목의 존재를 몰라 불길을 일찍 차단하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기와·진흙층 먼저 걷어냈어야

문화재 전문가들은 “지난 1961~63년 숭례문 보수공사를 할 때, 기와 바로 밑에 있는 진흙층인 보토에 석회 성분을 많이 넣었다”고 말했다. 진흙에 석회를 섞은 것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물·습기를 차단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이 때문에 소방관들이 외부에서 엄청나게 물을 뿌려 댔지만, 내부에선 오히려 불길이 활활 번져나갔다. 전문가들은 숭례문 지붕으로 번진 화재를 잡기 위해서는 지붕 맨 윗부분인 기와·보토 부분을 먼저 걷어낸 뒤 물을 뿌렸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화재청·소방당국 말이 안 통했다

숭례문이 잿더미가 되기까지 5시간17분 동안 문화재 보존 책임이 있는 문화재청과 화재 진압 책임이 있는 소방당국의 의사 소통은 꽉 막혀 있었다. 누가 누구에게 연락을 해야 하는지, 책임자가 언제 현장에 도착했는지조차 서로 말이 다르다.

본지가 입수한 소방당국의 화재 당일 일지에 따르면 문화재청(대전광역시)에 숭례문 화재 발생이라는 비상연락이 간 것은 오후 8시56분. 문화재청 담당자가 화재현장에 도착한 것은 오후 10시4분이다. 불이 난 지 1시간8분이 지나서야 현장에서 소방당국과 문화재청의 공조가 이뤄졌다는 뜻이다. 현장 소방관은"숭례문은 문화재여서 우리 마음대로 판단해 진화작업을 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문화재청은 화재 초기 소방당국에 "국보 1호이기 때문에 조심스럽 게 화 재 를 진압해 달라"고 요청했다. 불길이 커지고 있다는 보고를 받은 문화재청은 불이 난 지 47분여가 지난 오후 9시35분이 돼서야"남대문이 훼손돼도 상관없으니 적극적으로 불을 꺼달라"고 통보했다. 그러나 소방당국은 문화재청의 통보를 받고도 2시간5분이나 지난 11시40분에서야 지붕 기와 일부를 들어내는 작업을 벌였다.

한국화재소방학회 손봉세(경원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학회장은“화재초기에 처음부터 두 기관이 화재현장에서 도면과 진압방식에 대해 실시간으로 교환하고 대화했다면 이처럼 문화재 전체를 태워 버리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