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년 3·1 독립운동 당시 시위 진압에 나선 일본군이 수원 제암리 주민 약 30명을 집단 학살한 사건을 당시 조선 주둔 일본군(공식 명칭은 ‘조선군’) 사령부가 조직적으로 은폐했음을 보여주는 당시 사령관의 일기가 발견됐다.

일기의 주인은 3·1운동 당시 조선 주둔 일본군 사령관이었던 우쓰노미야 다로(宇都宮太郞·1861~1922) 대장. 이번에 발견된 15년분의 일기 등 사료 중에는 독립운동의 진압 실태와 민족운동가에 대한 회유 내용 등이 상세하게 기록돼 있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28일 보도했다. 우쓰노미야는 1918년 7월부터 1920년 8월까지 약 2년간 조선주둔 일본군 사령관을 지냈다.

1919년 4월 15일 발생한 제암리 사건에 대해 그의 일기는 일본군이 약 30명을 교회에 가둬 놓고 아기까지 죽이고 방화했지만 일본군이 거짓 발표를 통해 이를 부인했음을 증명한다.

우쓰노미야는 그해 4월18일자 일기에서 “사실을 사실대로 하고 처분을 하면 가장 간단하겠지만 학살·방화를 자인하는 것이 돼 제국의 입장에 심대한 불이익이 되기 때문에, 간부들과 협의한 끝에 ‘저항을 했기 때문에’ 살육한 것으로 하고, 학살·방화 등은 인정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밤 12시 회의를 끝냈다”고 적었다.

이어 4월 19일자 일기에서는 학살에 관여한 일본군 아리타(有田) 중위에 대해 “진압 방법과 수단에 적당하지 않은 점이 있어 30일간 중(重)근신 처분을 내리기로 거의 결심했다”고 기록했다. 실제로 아리타 중위에겐 30일간의 근신 처분이 내려졌다.

또 앞서 2월27일자 일기에는 3.1 독립선언에 서명한 ‘어느 종교인’이 우쓰노미야 사령관을 찾아와 “이번 국장(國葬·고종 장례식) 때 뭔가 사건이 없다고 할 수 없으니, 조심하라” 고 말했다고 기록돼 있다고, 아사히는 보도했다. 이에 대해 일기 검토 작업에 참가한 한 관계자는 “아사히 신문이 이름을 밝히지 않은 ‘어느 종교인’의 이름을 확인한 순간 충격을 금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우쓰노미야는 또 기독교도와 천도교도, 학생 등이 시위를 주도했으며, 외국인 선교사의 후원을 받아 봉기한 것으로 소요의 뿌리가 깊다고 분석했다. 3월 11일자 일기에선 “소요가 날로 확산돼 더 이상 고식적인 방어 진압수단이 도저히 먹혀 들지 않는다고 판단해, 조선군(일본군)의 출동을 조선총독에게 납득시켰다”고 썼다.

그의 일기에는 그가 3·1운동 이후 이른바 ‘문화정치’ 도입에 앞서 민족운동가 및 종교 지도자들을 상대로 한 매수 등 다양한 회유공작을 펼쳤으며, 상해 임시정부를 내부 분열시키기 위한 공작도 펼쳤던 것으로 나와 있다.

시가(滋賀)현립대 강덕상(姜德相·조선 근현대사 전공) 명예교수는 이번 사료에 대해 “3·1 독립운동의 대표적인 유혈진압 사건인 제암리 사건의 은폐 과정과 민족운동가들에 대한 일본의 회유공작 기록이 밝혀지기는 처음이며, 기존 연구에서 밝혀지지 않은 부분을 메워주는 1급 사료”라고 평가했다. 우쓰노미야는 주로 정보수집 분야에서 근무했으며, 러일전쟁 전후에는 영국에서 여론 공작을 펼쳤다. 그의 아들인 우쓰노미야 도쿠마(宇都宮德馬·1906 ~2000)는 1970년대 자민당 국회의원을 지내면서 대표적인 친북(親北)·반한(反韓) 인물로 활동했었다.